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25% 관세를 적용받은 수입 자동차에 철강·알루미늄(25%) 관세를 중복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또 다음 달 3일(현지 시간)부터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물리되 자동차 제조 업체에 자동차 가격의 최대 3.75%를 돌려주기로 했다.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미시간주 머콤카운티에서 열리는 취임 100일 기념행사에서 자동차 관세에 따른 경제 여파를 줄일 수 있는 대책들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 업체들은 자동차 관세 이외에 다른 관세를 부담하지 않아도 되며 이미 다른 관세를 납부했을 경우 이를 환급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3일부터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철강·알루미늄에도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를 매겼다.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다음 달 3일부터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이지만 향후 1년간은 미국 내 자동차 판매 가격의 최대 3.75%, 두 번째 해에는 2.5%만큼 관세를 환급해주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선회는 고율 관세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 미국 내 자동차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인 데 따른 것이다.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자국 내 자동차 생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공급망 재조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관세 조치를 완화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WSJ는 “이러한 조치들은 자동차 제조 업체들이 부품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할 시간을 벌어주기 위한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자동차 업계에 상당한 혜택이 될 것이지만 환급 재원이 어디에서 충당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조치로 미국에 진출한 현대자동차는 물론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들도 일단은 숨통을 트이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백악관에서 현대차 등 대미 투자를 약속한 기업들을 초청해 자신이 취임 후 100일간 거둔 경제적 성과를 홍보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