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 스윙은 어퍼블로, 아이언 샷 스윙은 다운블로로 쳐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드라이버는 상향 구간에서, 아이언은 하향 구간에서 클럽헤드가 볼과 만나는 타격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다. 아이언 샷은 지면에 놓인 볼을 띄워 보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파워가 부족한 여성 골퍼들에게 여간 부담스럽지가 않다. 프로 선수들은 아이언 헤드가 볼을 먼저 맞힌 뒤 눌러서 치기 때문에 볼 앞쪽에 디보트가 만들어진다. 반면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볼을 맞히기 전에 뒤땅을 치고, 뒤땅 치기를 피하려다 반대로 볼 윗부분을 때리는 토핑을 내기도 한다. 이런 미스 샷은 자신감을 떨어뜨린다.
▲체중 이동과 래깅을 익히자
아이언의 다운블로는 사실 엄청난 기술을 장착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임팩트 구간에서 아이언 헤드의 입사각을 그대로 살리면서 정타로 볼을 맞히는 걸 의미한다. 뒤땅 치기와 토핑이 발생한다면 다운블로 임팩트가 이뤄지지 않는, 또는 다운블로로 치기 힘든 조건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체크할 포인트는 체중 이동과 래깅이다.
첫째, 다운블로 샷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중이 이동되면서 볼을 치는 것이 필수다. 많은 아마추어들은 다운스윙 때 체중을 오른쪽에 남겨 두는 경향이 있다. 체중을 왼쪽으로 옮겨주지 않으면 헤드가 손을 앞서 나가는 캐스팅 동작이 나오면서 뒤땅을 치기 쉽다. 정확도와 거리를 모두 잃게 되는 것이다.
체중 이동은 엉덩이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딩 동작도 동반돼야 제대로 이뤄진다. 슬라이딩은 백스윙 톱에서 엉덩이를 천천히 회전시키기 시작하면서 왼쪽 골반이 왼발의 바깥쪽 위치까지 오도록 10cm 정도 밀어주는 것이다. 이 같은 ‘힙 턴 앤드 슬라이드(hip turn & slide)’ 동작을 연습 스윙을 해본 뒤 이 느낌대로 볼을 쳐본다. 미스 샷은 줄고 자신감은 상승할 것이라고 보장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래깅(lagging)이다. 뒤처진다는 의미의 래깅은 골프에서는 지연 타격이라는 말로 해석된다. 다운스윙을 할 때 오른쪽 팔의 각도와 손목의 코킹을 유지하며 끌고 내려오는 동작을 말한다. 래깅 동작을 제대로 하면 헤드의 무게를 느낄 수 있으며 파워가 빠져나가지 않고 충전돼 있는 느낌을 받게 된다. 또한 헤드가 일찍 풀리는 캐스팅을 막을 수 있다. 래깅은 팔 동작이 핵심이지만 하체의 회전과 연결되는 동작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다운스윙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코킹된 손목의 각도가 유지된 채 양손이 하체의 회전에 이끌려 내려오는 느낌을 파악하면서 볼을 쳐본다.
김은영은 KLPGA 정회원으로, 명쾌한 레슨으로 유명하며 프랑스 오리진 브랜드 까스텔바작 미디어 프로로 활동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