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가 연금 수급 가능 연령을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70세로 높이기로 결정해 노동계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23일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덴마크 의회는 찬성 81표, 반대 21표로 은퇴연령 상향조정안을 승인했다. 이는 유럽연합(EU) 내 최고 수준이다.
덴마크는 2006년부터 기대수명과 은퇴연령을 자동 연동해 5년마다 조정하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 현재 기대수명 81.7세를 반영해 현행 67세에서 2030년 68세, 2035년 69세, 2040년 70세로 늘어난다.
메테 프레데릭센 총리는 현행 제도의 지속가능성 한계를 인정하며 새로운 대안 마련 필요성을 시사했다. 특히 육체노동자들의 반발이 강하다. 지붕 수리공 토마스 옌센(47)은 "비현실적이고 불합리하다"며 "평생 세금을 냈는데 가족과 보낼 시간도 있어야 한다"고 항의했다. 덴마크노동조합총연맹 라스무센 위원장은 "경제가 튼튼한데도 EU 내 은퇴연령이 가장 높아 존엄한 노년 생활 권리를 잃는다"고 비판했다.
이웃 스웨덴은 63세부터 연금 수급이 가능하고, 프랑스는 은퇴연령을 62세에서 64세로 높이자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바 있어 대조를 이룬다. 고령화로 인한 연금재정 부담 증가와 노동력 확보 필요성이 충돌하면서 유럽 각국이 은퇴연령 조정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