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삼성전자(005930)를 콕 집어 다음달 말부터 애플 등과 함께 해외 생산 스마트폰에 25% 이상의 관세를 똑같이 매길 회사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해외산 아이폰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이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 시리즈 등에 아무런 호재가 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가진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애플 아이폰만 겨냥해 관세를 부과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관세 부과 대상은) 더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삼성의 이름을 특정해 거론하면서 “제품을 (해외에서) 만드는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갤럭시 S시리즈·Z플립·Z폴드 등 주요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갤럭시 A·Z시리즈 등 보급형 제품을 미국이 아닌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관세는) 아마 6월 말께 시작될 것”이라며 “기업들이 이곳(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 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움직임과 관련해서도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럴 경우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는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고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나 다른 나라가 아니라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오래 전에 알렸다”며 “그렇지 않으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관세 협상을 책임지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같은 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라며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