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퇴임하는 심우정 검찰총장이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검찰 개혁과 관련 “형사사법시스템은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한다”고 밝혔다. 심 총장이 온건하고 신중한 스타일이라고 알려진 데다, 퇴임 당일의 공개 발언이라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심 총장은 이날 대검찰청 청사로 마지막 출근을 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범죄를 처벌하고 국민을 범죄로부터 지키는 국가 형사사법시스템은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각계각층 의견을 충분히 듣고 깊이 있고, 또 국민을 위하는 일선 검사들이 사명감을 갖고 국민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국가백년대계로서 형사사법시스템이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심 총장이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검찰 개혁에 다소 우려를 표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심 총장은 1일 사의를 표명한 발표한 입장문에서도 “형사사법제도는 국민 전체의 생명과 신체·재산 등 기본권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시한과 결론을 미리 정해놓고 추진하면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학계와 실무계 등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거쳐 국민을 위한 형사사법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총장은 지난 달 30일 법무부에 사의를 표면한 데 이어 이날 비공개로 퇴임식을 갖는다. 이는 심 총장이 지난해 9월 취임한 지 약 9개월 만이다. 심 총장은 임기 1년 3개월을 남긴 채 중도 퇴진하게 됐다. 수사·기소 분리를 골격으로 한 검찰권 분산을 공약으로 내건 현 정부가 출범하고 검찰 개혁을 이끌 지휘 라인이 확정되자 거취를 정리할 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사법연수원 26기인 심 총장은 대표적 기획통으로 꼽힌다. 서울지검 검사를 시작으로 법무부 검찰국 검사에 이어 형사기획과장·검찰과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으로 근무했다. 또 법무부 기조실장에 이어 서울동부지검장, 대검 차장, 법무부 차관을 역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