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시니어 일자리를 제조업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고령 인구가 늘고 있는 서비스업·숙박업·음식점업 등에 편중됐던 일자리를 제조업까지 넓혀 선택의 폭을 확대하겠다는 의도다.
4일 서울시의회는 ‘시니어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 제도 개선방안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민간 기업 제조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시니어들의 취업 기회를 제조업 분야로 늘리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서울시가 시니어 일자리를 제조업까지 확대하려는 것은 고령 인구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019년 65세 이상 인구가 14.5%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2026년에는 20.9%로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2040년에는 65세 이상 비율이 3명 중 1명(31.5%)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됐다.
고령 인구가 늘고 있지만 인력 채용 직군은 제한적이다. 중장년층은 채용 분야가 제조업, 전문 서비스업까지 다양하고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시니어는 사회복지 서비스업, 사업시설 관리,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일부 저임금 산업군에 국한돼 경제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제조업계는 취업률이 상승하고 있지만 취업자는 줄어드는 고용 부진 현상이 극심하다. 청년층들이 제조업을 기피하는 반면 시니어의 제조업 취업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에서 일한 60대는 월평균 56만 명 이상으로 처음으로 20대 제조업 취업자보다 높았다.
서울시의회 관계자는 “최근 늘고 있는 시니어들이 제조업에 취업한다면 안정적인 경제적 자립을 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업계의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시니어 채용과 관련한 기업들의 인식 등을 파악해 서울시의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