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초강력 대출 규제의 효과가 실제 시장의 거래량과 거래 가격을 낮추며 가시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장'을 이끌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뿐 아니라 이번 규제로 수요가 유입될 것으로 기대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같은 비인기 지역 거래도 동반 감소했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서울 25개 자치구에 대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아파트는 총 577건이 거래돼 직전 일주일(6월 20일∼26일)의 1629건보다 1052건(64.6%) 줄었다.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약 한 달이 남았기 때문에 거래량은 더 늘어날 수 있지만 대책 발표 전 '불장'이던 강남3구와 마용성을 보면 확연한 변화가 감지된다.
비교 기간 강남3구 거래량은 △송파(24건→1건) 95.8% △서초(15건→1건) 93.3% △강남(76건→24건) 68.4%씩 감소했다. △마포는 66.3%(86건→29건) △용산은 21.4%(14건→11건) △ 성동은 53.8%(93건→43건) 각각 줄었다.
이번 대책 이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됐던 노도강, 금관구(금천·관악·도봉) 등 외곽 지역도 거래가 얼어붙긴 마찬가지다. △노원(143건→60건)은 58.0% △도봉(48건→25건)은 47.9% △강북(21건→15건)은 28.6% 각각 줄었다. △금천은 73.1%(26건→7건) △관악은 62.7%(59건→22건) △구로는 65.8%(79건→27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 규제 발표 직후인 지난달 29일 부동산R114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들 지역은 6억 원 이하로 주담대를 받아도 평균 시세 안에서 아파트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수요자들이 매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그러나 현재 상황만 보면 6·27 대책은 인기 지역과 외곽 지역을 나누지 않고 시장 전체에 진정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대출 규제 발표 후 일주일간 서울 거래량은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 중 용산, 도봉, 강북을 제외한 22곳의 거래량 감소 폭은 50%를 웃돌았다. 은평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규제 발표 이후 상황을 좀 더 지켜보자는 마음들을 먹으면서 거래 문의 자체가 거의 없고, 집을 보러 와도 구경만 하고 간다"고 말했다.
거래 금액도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25개 자치구 모두 직전 일주일 대비 축소해 서울 전체로는 67.3% 줄어든 6319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대책 발표 전 일주일간 거래 금액이 총 2223억원으로 가장 많았던 강남구는 71.3% 줄어든 637억원을 나타냈다. 서초는 97.0% 급감한 15억 원, 송파는 89.9% 감소한 43억 원으로 조사됐다. 노원 -61.0%(340억원), 도봉 -51.1%(126억원), 강북 -36.0%(85억원) 등도 거래 금액이 축소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이재명 대통령이 추가 규제를 암시하는 발언을 내놓은 만큼 시장의 관망세가 좀 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효선 NH농협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강도 높은 규제 때문에 전반적 거래 감소와 가격 축소가 단기적으로는 나타나고 있다”면서 “다만 이번 대책이 직접적 부동산 대책이 아닌 만큼 앞으로 수요와 공급을 총망라한 대책이 나왔을 때 시장은 또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