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상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칠 여파가 애초 우려보다 작을 수 있다는 전문가 공감대가 나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경제 전문가 69명을 대상으로 한 분기 설문조사 결과 이들이 3개월 전 조사보다 더 높은 경제성장률과 일자리 증가, 더 낮은 침체 위험을 예상했다고 1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올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직전 조사인 지난 4월 전망치보다는 0.8% 포인트 상승했지만 1월 전망치보다는 절반 정도로 낮아진 것이다.
향후 1년 안에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은 평균적으로 33%로 예상돼 4월 45%보다 낮았고 1월 22%보다는 높았다. 통상적으로 경기침체는 GDP가 2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하는 사태를 의미하는 말이다.
전문가 전망의 변화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통상정책이 출범 직후보다 다소 완화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지난 3개월간 미국 내 고용과 같은 경기지표가 개선된 것도 전문가 전망에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평균 고용 증가 수는 15만명으로, 4월 예상치보다 높았으며 실업률도 지난 5월 4.2%에서 6월 4.1%로 하락해 최근 1년 평균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무엇보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물가의 지속적 상승) 심화가 나타나지 않은 점이 주요하게 꼽혔다. 지난 5월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8%로 4년 내 최저를 기록했다.
다만 WSJ은 무역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그에 따른 경기부진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현재 전망이 지난 1월보다 비관적이라고 지적했다.
고율관세 외에도 불법 이민자 단속과 추방 강화, 감세법안 통과 등이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실제 반영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