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원전 비중을 높일 거면 소위 석탄이나 LNG 비중을 낮췄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이같이 말하며 “재생 에너지도 끌어 올리고 원전 비중도 높이면서 탈탄소를 빨리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가 원전 비중을 높이면서 재생 에너지 비중을 대폭 낮추는 한편 석탄과 석유 비중은 그대로 두면서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많이 늦어졌다는 게 김 후보자의 지적이다.
또 과거 ‘탈원전은 대세’라고 한 발언을 두고는 “제가 노원구청장으로 있던 시절에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졌고 당시 전 세계가 깜작 놀랐다며 ”그 이후에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원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정책의 추진이 변화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2030 NDC)와 관련해서 “2030년까지의 목표 달성을 이재명 정부가 해야 되는데 그때까지 얼마만큼 빠르게 재생 에너지를 늘려나갈 것인가가 굉장히 큰 숙제”라며 “특히 대한민국은 철강에서 15%, 석유화학에서 11%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되고 있는데 이 두 산업만 합해도 전체의 4분의 1”이라고 전했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가 감축 목표를 갖고 있고 대부분의 이행수단은 산업부가 가지고 있다”며 “기후에너지부에서 에너지 부분을 어떻게 새롭게 할 거냐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정책을 수립하는 파트와 실제로 그것을 담당하는 데에서 좀 더 유기적으로 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