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이재명’을 노리는 정청래·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오는 10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해야 한다고 나란히 밝혔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론에는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고 입을 모았다.
민주당 차기 당권에 도전장을 내민 두 의원은 8·2 전당대회를 사흘 앞둔 30일 마지막(3차) TV 토론회를 가졌다. 두 사람은 앞선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서로를 향한 공세보다는 ‘공통점’ 찾기에 무게를 뒀다. 과도한 경쟁이 분열로 이어지는 것을 경계하려는 차원이다.
정 의원은 김 위원장의 APEC 초청 여부에 대해 “남북 관계는 자꾸 만나고 대화를 시도해 마음속에 있는 3·8선부터 낮춰야 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오면 좋겠는데 경주에 못 온다면 판문점에서의 만남을 주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도 “(김 위원장이) 올지 안 올지는 우리가 따지지 않고 당연히 초청해야 한다. 남북 관계는 인내력을 갖고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하나 싶을 정도로 두드려야 한다. 한국이 남북문제에 있어 ‘패싱’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더 적극 두드려야 한다”고 말을 보탰다.
조 전 대표 ‘광복절 사면론’에는 두 의원 모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 의원은 ‘여당 대표가 되면 조 전 대표 특별사면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이냐’는 질문에 “특별사면은 매우 민감한 사안이고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고 답했다. 박 의원도 “인사권·사면권 등은 충분히 인사권자와 사면권자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며 “우리 의견은 자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검찰·언론·사법 개혁에 대해선 두 사람 모두 ‘속도전’을 다짐했다. ‘신규 원전이 필요하느냐’는 질문에도 ‘X(아니오)’ 팻말을 함께 들었다. 다만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관련해선 정 의원은 “빨리 해야 한다”고 밝힌 반면, 박 의원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견을 보였다.
민주당 전당대회는 내달 2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경선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정 의원은 이날 인천에서 당원을 만나고, 박 의원은 제주를 찾아 표심 잡기에 나선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