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당시보다 더 강한 소비 촉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절반 이상은 매출과 방문 고객이 늘었다고 응답했고, 소비자들도 과일·육류 등 먹거리에 지출 의향을 크게 높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와 전국상인연합회(전상연)는 12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의 도소매업, 숙박업, 식음료업, 교육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소상공인 2035명을 대상으로 이달 5일부터 7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됐다.
그 결과 소비쿠폰 사용 이후 55.8%의 사업장에서 매출이 증가했고, 이 중 절반 이상(51.0%)은 10~30%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도매업이 68.6%로 매출 증가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음식점·카페 등 식음료업이 52.6%로 뒤를 이었다.
방문 고객 수 역시 51.8%의 사업장에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한 고객 수는 절반 이상(52.1%)이 10~30% 범위에 해당했다.
소비쿠폰 정책 인지도는 99.5%에 달해 대부분의 소상공인이 해당 제도를 알고 있었다. 정책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70.3%였으며 향후 유사 정책의 추가 시행 필요성에 대해서는 70.1%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정책 개선 방안으로는 ‘골목상권에 집중될 수 있도록 사용처 제한’(49.8%)과 ‘쿠폰 금액 확대’(47.4%)가 주로 제시됐다.
한편 농촌진흥청이 최근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소비쿠폰의 사용 계획과 정책 효과를 파악하는 별도의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응답자의 83.5%가 소비쿠폰을 먹거리 구입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의 응답(약 60%)보다 20%포인트가량 높은 수치다.
먹거리 중에서도 과일·과채류와 육류의 소비를 늘린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과일·과채류 중에서는 복숭아·수박·사과 등을, 육류 중에서는 한우·돼지고기 등을 선호했다.
또한 사용처 제한에 대해 51.4%가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으며 사용처 제한이 불편하다고 답한 비율은 14.1%에 그쳤다.
위태석 농진청 농업경영혁신과장은 "소비쿠폰 사용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살아나고 있는 것 같다"며 "정책 목표가 달성되도록 농식품 홍보 및 판촉 지원 등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