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경제단체·시민단체가 ‘민간·군 공항 문제’를 놓고 동상이몽이다.
10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상공회의소는 인근 전남 무안으로 신속한 공항이전을, 신생 단체인 광주공항 국제선 부활 시민회의(준비위)는 민간공항을 군공항과 함께 전남 무안으로 통합 이전하지 말고 오히려 민간공항 국제선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엇갈린 주장을 펼쳤다.
시민회의는 전날 논평을 통해 “광주공항 통합 이전에 대한 지역 언론의 편향된 조사 결과에 편승해 일각에서 여론을 몰아가고 있다”며 “통합 이전에 찬성하는 답변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는 설문조사를 근거로 여론이 바뀐 듯 포장하는 것은 다수의 힘으로 소수를 압박하는 비민주적 행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광주와 무안, 호남을 위해서라도 통합 이전은 답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시민회의의 이번 논평은 사실상 군 공항 이전을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비춰지고 있다.
시민회의에는 12·3 비상계엄 이후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던 임한필 광산시민연대 수석대표와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대변인을 지낸 강수훈 시의원이 동시에 이름을 올리는 등 20여 명이 뜻을 함께 하고 있다.
앞서 광주상공회의소는 지난 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초청 정책간담회에서 지역 주요 현안을 건의하는 자리에서 광주 군 공항 이전에 대해 집중적으로 어필했다.
한상원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날 “광주 군공항은 수십 년간 소음과 고도제한, 투자 저해 등으로 인해 지역민의 삶과 도시 발전에 큰 제약을 주어 왔다”며 “그러나 현행 기부대양여 방식은 지방정부에 과도한 부담을 떠넘기는 구조여서 현실적으로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구 군공항 추진 사례에서 이미 그 한계가 드러났다”고 언급하며, 부산 가덕도 신공항이 전액 국비로 추진되고 있는 점을 근거로 광주 군공항 이전 역시 반드시 정부 재정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광주지역 내에서도 공항 이전과 관련,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작 당사자인 무안군은 불쾌함을 표출하고 있다. 현재 김영록 전남지사를 비롯한 전남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권에서도 무안군민들을 자극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접근을 시도하고 있지만, 광주 시민단체와 경제단체에서 과도할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