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뒤, 통일 포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외교 소식통을 인용한 일본 교도통신 13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달 4일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났을 당시 남북 평화 통일을 포기한 자신의 정책에 대한 경위를 언급하고 이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 평화 통일을 포기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구하기 위해 외교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지난해 북한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헌법을 개정한 뒤 한국을 '철저한 적대국가,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 통일 개념을 헌법에서 삭제하고 영토 조항을 신설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 남북 관계를 하나의 민족이 아닌 상호 적대적인 두 국가로 공식 선언한 것이다.
다만 김 위원장이 시진핑 주석과 회담한 뒤, 중국 측 발표 내용에는 통일 포기에 대한 지지가 명기되지는 않았다. 김 위원장은 이달 3일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도 같은 내용을 말했고 푸틴 대통령은 지지를 표명했다고 전해진다.
지난 8월 몽골에 파견된 태형철 북한 사회과학원장도 현지에서 '적대적 두 국가'와 통일 포기에 대한 견해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학술기관 수장을 몽골에 파견한 것은 약 8년 만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교도통신은 북한이 이달 하순 유엔총회 일반 토의 연설자로 고위급 인사 파견을 조율 중이라며 "핵 보유의 정당성을 어필하는 것 이외에 한반도 정세에 대한 주장을 전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