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노동자 300여명이 불법체류 혐의로 집단 구금됐다 풀려났지만 파장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미국 측 조치가 과도하다는 비판이 국내외에서 제기되는 가운데 '맞불' 대책으로 국내에 관광비자로 입국해 학원 등에서 일하는 미국인 영어강사를 잡아들이자는 정치권 주장도 나왔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국혁신당 김준형 의원은 "관광비자로 입국해 학원에서 일하는 미국인 영어강사들을 전수조사"하자며 "우리가 가진 기술과 돈으로 투자해 주는 나라에서 이런 취급을 받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외교부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하면서 "관광비자로 입국해 학원에 취업해 있는 미국인이 2천 명이 넘는다"며 이같이 주장한 것이다.
이에 조현 외교부 장관은 "김 위원님의 결기 있는 대처 방안을 저희가 면밀히 검토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김 의원 주장대로 보복성 조치를 취한다면 한미 관계에 파장이 일 것을 고려한 답변이었다.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도 '보복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럿 포착되고 있다. 한 누리꾼은 "한국 국민들이 이렇게 화가 났다는 것을 미국에도 보여줘야 한다"며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요구했다. 다른 누리꾼도 "요즘 보면 미국이 우리나라와 동맹국이 맞는지 싶다", "우리한테 함부로 하면 안된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 등 불편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원래 단기간에 급할때 관광비자로 가서 해외 업무하는 것이 기업의 관례"라며 "미국이 자국 노동시장 지킨답시고 비자 안주면서 공사일정은 급하게 만든 것, 미국이 미친거로 보이더라"라고 미 당국의 행태를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한 누리꾼은 "미국이 표적 단속한 것인데 그런식이면 (한국에)미국 영어 강사 중에서도 표적 단속 당할 사람 꽤 있다"면서 "여행비자로 한국 와서 영어학원에서 일하고있는 미국인들 모조리 체포해라, 외교는 상호주의다"라고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이번 사태로 불거진 비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워킹그룹을 가동 중이다. 업무목적 파견임에도 비자 쿼터 부족과 발급 지연, 관행적 임시비자 활용이 집단 구금의 원인으로 지목된 만큼 주한미국대사관 내 투자기업 전용 비자 데스크 설치, 전문인력용 신규 비자(E-4) 신설 등이 논의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