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시계 브랜드 스와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을 비꼰 한정판 시계를 출시했다. 스와치를 비롯한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들은 미 정부가 스위스 제품에 39%의 고율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스와치는 지난 10일 '만약…관세가?'(WHAT IF…TARIFFS?)라는 이름을 붙인 한정판 제품을 출시했다. 가격은 139스위스프랑(약 24만 원)으로 스위스에서만 판매된다.
이 제품의 숫자판에는 3과 9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숫자 3이 있어야 할 자리에는 9를, 9가 있어야 할 자리에는 3을 배치해 시계판을 볼 때 트럼프 정부가 스위스에 부과한 39%의 관세가 연상되도록 만든 것이다.
스와치 대변인은 이 제품이 의도적인 풍자를 담아 제작된 것이며 스위스 정부에 대한 일종의 경고 메시지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제품의 판매에 대해 "지금까지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있다"면서 "미국이 스위스에 대한 관세를 변경하는 즉시 해당 모델의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미국은 스위스와 인접한 유럽연합(EU) 국가들에는 관세를 15% 적용하기로 했지만, 스위스에는 39%라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해 큰 충격을 줬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관세 중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급 시계와 명품 등을 생산하는 스위스의 수출산업에 심각한 타격으로 작용했다. 미국은 스위스 시계 수출의 최대 시장이다. 스위스 시계산업연맹(FH)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수출액이 54억 달러(약 7조 원)에 달한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불균형 해소에 의지를 보이지 않은 스위스 대통령에게 격노했기 때문이라는 뒷말마저 나왔지만, 스위스 정부는 아직 관세를 낮추지 못하고 있다. 스위스 정부는 미국과 관세 인하 협상을 추진해 왔으며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11일 CNBC 인터뷰에서 스위스와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긍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