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서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내년 초 중국에 갈 것이고 시 주석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시기에 미국에 오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시 주석과 방금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마쳤다”며 이 같이 적었다. 미중 정상 통화는 지난 6월 5일 이후 3개월 여 만이다. 중국 역시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미중 정상 통화를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무역, 펜타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을 종식 시킬 필요성, 틱톡 거래 승인 등 매우 많은 중요한 문제에서 진전을 이뤘다”며 “통화는 매우 좋았고 우리는 전화로 다시 이야기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틱톡 (매각) 승인에 감사하며 둘 다 APEC에서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는 것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렸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여 만이다. 이에 따라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 2기 취임 후 처음으로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APEC을 전후해 중국을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방중 시점을 내년 초라고 언급함으로써 미중 갈등 관계는 여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실제 이날 통화 결과를 놓고 양측은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다. 이날 통화에 대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통화는 긍정적, 건설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 "미국은 여러 차례 협상을 통해 이룬 성과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 일방적 무역 제한 조치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무역제한 조치를 언급하며 뼈 있는 말을 남긴 셈이다.
틱톡과 관련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 승인에 감사하다”고 적었지만 중국 측에는 매각 등에 대한 확답이 없었다. 시 주석은 "중국 입장은 명확하다"며 "중국 정부는 기업 의견을 존중하며 시장 규칙에 기반한 상업 협상을 진행하고 중국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하며 이익의 균형을 이루는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틱톡 매각과 관련한 확고한 합의로 이어졌는지는 불확실하다”고 짚었다.
이날 시 주석은 "중국은 미국이 중국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차별 없는 사업 환경을 제공하기를 바란다"고 트럼프 대통령에 말했다. 시장 규칙, 규정 준수, 중국 기업에 개방적이로 차별 없는 사업 환경 등 그동안 자유무역을 강조해온 미국이 해온 수사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