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에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매매가격은 연일 상승세다. 대출 총액 6억 원 규제 이후 거래량은 감소한 가운데 같은 구 또는 강남권 내에서 기존 주택을 팔고 갈아타는 경우가 늘면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과 대출 제한으로 지방 거주자의 강남 3구 아파트 매수 비중은 줄어드는 상황이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 이후 이달 18일까지 11주 연속 강남 3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 누적 상승률을 보면 강남구가 2.32%, 서초구가 2.98%, 송파구가 4.03% 올랐다.
강력한 대출 총액 규제에도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를 멈추지 않는 것은 지역 내 갈아타기 수요가 여전히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포동 A 중개업소 대표는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에 더해 6억 원 초과 금액 주택담보대출도 받기 어려워지면서 다른 구나 서울 이외 거주자들의 매수세는 약해졌다”며 “하지만 기존에 강남·서초구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본인의 주택을 팔고 더 높은 가격의 주택이나 집 크기를 늘리는 선택을 하며 높은 가격에도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법원등기정보광장의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 등) 소유권 이전등기(매매) 신청자의 거주지를 분석해보면 규제 이후인 7월에 강남구를 매수한 강남구 거주자 비중은 전체의 41.7%에 달한다. 서초구를 매수한 서초구 거주자 비중도 35.3%로 가장 컸고, 송파구 역시 같은 구 거주자가 전체 매수자의 58.5%로 절반을 웃돌았다. 마포구와 성동구의 같은 구 내에서의 매수 비중이 각각 29.6%, 28.3%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다.
반면 9.67%를 기록한 수도권 이외 지역 지방 거주자의 강남구 집합건물 매수 비중은 7월 6.45%로 낮아진 후 8월에는 4.17%까지 떨어졌다. 지방 거주자의 서초구 집합건물 매수 비중도 6월 6.6%에서 8월 6.16%로 감소했고, 송파구 매수 비중도 6월 5.85%에서 4.49%까지 떨어졌다.
개포동 B 중개업소 대표는 “대형 주택형 대신 중소형 주택형 거래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면서도 “구축 아파트를 매도하고 신축을 사거나, 신축 아파트를 매도하고 재건축 예정 아파트를 구입하는 등 같은 지역 내 손바뀜이 활발하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