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시민사회가 이기대 입구에 추진 중인 고층 아파트 건설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2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5일 열리는 부산시 주택사업 공동위원회에서 심의 예정인 아이에스동서의 ‘용호동 973번지 공동주택 건설계획’은 본질적으로 난개발”이라며 “통합심의에서 반드시 부결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 사업은 당초 3개 동 규모였던 계획을 2개 동(28층·308세대)으로 줄인 수정안을 담고 있다. 그러나 단체 측은 “외형만 바꿨을 뿐 용적률은 여전히 250%에 달한다”며 “두 동 모두 고층 건물이 바다와 이기대를 가로막아 갈맷길과 조망권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사업자가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의제제도’를 활용해 법적 상한(200%)을 넘어선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는 것을 문제 삼았다. 부산항만공사 소유 도로·교량 매입, 아파트 뒤편 녹지 조성 등을 공공기여로 포장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입주민 편의시설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시가 추진 중인 이기대 예술공원 조성 계획과 정면 충돌한다는 점도 논란이다. 단체는 “예술공원의 경관과 공공적 가치는 고층 아파트로 인해 크게 훼손될 것”이라며 “공공 인프라가 민간사업자의 이익 증대 도구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고 비판했다.
또한 용호만 어촌마을과 수변 경관이 부산시 경관계획상 중요한 해안자원으로 지정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계획은 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부산시가 2020년 이기대공원을 보존녹지로 지정하며 개발행위를 제한한 방침과도 배치된다는 지적이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이기대는 부산의 대표 수변경관 자원”이라며 “주택사업 공동위원회가 행정의 책무를 다해 이번 심의를 반드시 부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오는 25일 오전 10시 주택건설사업 공동위원회를 연다. 지난해 이기대 아파트 건립안은 주택공동위원회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했으나 지역사회에서 난개발 논란이 일자 사업자가 개발안을 자진 철회했다가 1년 만에 다시 심의를 신청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