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관계자가 다음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UN 총회를 계기로 미국을 찾은 정부 고위 관계자는 26일(현지 시간) 뉴욕 모처에서 현지 특파원단과 만나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간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지금으로선 단정적으로 말하기 곤란하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 정상간의 대화는) 할 수 있는 일이고 또 그렇게 되기를 바라면서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때인 지난 2019년 6월에도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마치고 예고 없이 한국을 방문해 판문점에서 김정은을 만난 바 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전날 이재명 대통령 주변에 이른바 ‘동맹파’가 너무 많다며 외교·안보 라인의 인적 개혁을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동맹파와 자주파로 나뉘어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이 대통령 뜻도 그렇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 참석자들 모두 실용 외교를 추구하는 ‘실용파’”라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정 전 장관이 충정심에서 한 말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지난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정상 환영 만찬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알아보니 인사만 하고 끝나는 행사였다”며 “불과 얼마 전에 굉장히 긴 한미 정상회담이 있었는데 참석할 필요가 없다고 건의했다”고 말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 만찬 행사는 스페인 국왕과 일본·호주 총리를 비롯해 145명의 각국 고위급 인사들이 모인 가운데 1시간 30분가량 진행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과 관련해 “한국이 잠재적 핵보유국이 되기 위한 것은 전혀 아니다”라며 “이번 정부는 핵무장에 대한 아무런 계획이 없고 다음 정부 역시 그런 생각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