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4월 전 세계 외환시장에서 하루 평균 거래가 10조 달러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국에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시장의 외환 시장의 변동성을 극도로 확대된 데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4월 일평균 글로벌 외환 거래액이 9조6000억 달러(약 1경 3500조 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3년 전 같은 시기 7조 5000억 달러 대비 약 28% 급증한 수준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 발표가 환율 불안을 키우며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을 선포하며 주요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환위험을 회피하려는 헤지 수요가 늘어나면서 외환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확대됐다는 해석이다.
FT는 외환시장이 글로벌 변동성의 최전선으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도이체방크 유럽 외환 부문 책임자 올리 제롬은 “올해는 외환의 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4월 관세 발표가 불러온 충격으로 변동성이 극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달러 가치가 주요 통화 대비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이 급격한 환율 움직임에 대비해 헤지 거래를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거래 유형 중 외환 스와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 시점에 되돌리는 외환 스와프의 일평균 거래 규모 규모는 4조 달러에 달했다. 전체 거래 중 절반에 이르는 셈이다. 선물환(FX forwards)의 비중은 2022년 15%에서 올해 19%로 상승했다. 투자자들이 환율 급등락 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래 환율을 미리 확정하는 거래를 늘렸음을 보여준다. 옵션 거래량도 같은 기간 두 배 이상 증가해 전체의 7%를 차지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달러의 지배력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는 전체 거래의 89%를 차지했으며 3년 전(88%)보다 비중이 높아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