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을 6개월째 동결했다. 경기 둔화 우려에도 중국 당국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인민은행은 LPR 1년물을 3.0%, 5년물을 3.5%로 각각 유지한다고 20일 밝혔다.
LPR 1년물은 일반 대출의 기준이 되고,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역할을 한다. 중국에서는 매월 20개 주요 상업은행이 자체 자금 조달 비용과 위험 프리미엄 등을 고려한 금리를 은행 간 자금중개센터에 제출하면, 인민은행이 이를 취합·정리해 LPR을 점검하고 공지한다. 별도의 기준금리가 존재하지만 당국이 오랜 기간 이를 손대지 않고 있어 시중은행들에는 LPR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내수 침체가 확산되며 경기 둔화 조짐을 보이자 LPR 1년물을 3.35%에서 3.1%, 5년물을 3.85%에서 3.65%로 각각 0.25%포인트(p) 인하했고, 올해 5월 미국과의 관세 전쟁이 확산되면서 경기 부양 압박이 커지자 추가로 각각 0.1%p씩 낮춘 이후로는 동결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달 LPR 동결을 예측했다. 일부에선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4%대로 떨어지고 10월 들어서도 주요 경제지표가 악화돼 중국이 통화정책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지만 로이터통신 설문에 응답한 전문가 23명은 모두 동결을 예측했다.
로이터는 전문가들이 현재 중국의 주요 정책 금리 역할을 하는 7일물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가 이달 동결됐고, 중국이 전면적인 금리 인하가 아닌 '덜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로 이동했을 수 있다는 점을 판단 근거로 거론했다고 전했다.
인민은행은 이달 발표한 3분기 통화정책 집행 보고서에서 종전의 '역주기조절 강화'에 더해 "역주기조절과 과주기조절을 잘해야 한다"는 입장을 담았다. 경기의 하방 압력에 부양책으로 단기적으로 적극 대응하는 역주기조절 일변도보다는 중장기적 경제 안정성을 중점 고려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됐다. 보고서 발표 이후 중국이 당장 금리 인하 등 완화 정책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에 힘이 실린 배경이 됐다.
로이터에 따르면 토미 셰 OCBC은행 아시아 거시 연구 책임자는 '과주기조절'이 더해진 보고서를 두고 “광범위한 완화 정책의 시급성이 줄었다”는 신호로 풀이하며 “이는 정책 초점이 또 다른 전면적 금리 인하보다는 타깃을 맞춘 신용 지원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 은행들의 신규 대출은 10월 들어 전월 대비 급감하는 등 수요도 줄어든 상황이다. 로이터는 “경제 불확실성과 중미 간 무역 긴장으로 가계와 기업이 추가 부채 부담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righ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