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DUV 장비 규제가 중국 반도체에 부담인 이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산업 기업 2024.01.06 10:00:00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를 읽어주시고 아껴주시는 모든 분들, 새해 복 듬뿍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기분 좋게 일어난 새해 1월 1일, 독자님들은 어떤 기사를 가장 먼저 보셨나요? 새해 벽두부터 반도체 업계는 한바탕 난리가 났었는데요. ASML의 심자외선(DUV) 장비로 큰 이슈가 있었습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 회사 ASML이 중국에 보낼 DUV 장비 3대 수출을 중단했기 때문입 -
美 DUV 장비 규제가 중국 반도체에 부담인 이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2편>
산업 기업 2024.01.06 10:00:00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1편에서는 DUV 레이저 생성 과정에 대해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2편에서는 본격적으로 DUV 노광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DUV 장비에도 고급 기술이 곳곳에 숨어있습니다 DUV 노광기는 EUV 노광기와 구조가 다를 뿐 빛이 웨이퍼까지 흘러가는 과정과 흐름은 상당히 비슷합니다. 생성기에서 노광기로 올라온 ArF 레이저의 이동 경로를 따라가 보면요. 웨 -
중국 반도체, 내년에도 '돌진'합니다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12.30 17: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해를 돌아보면 중국 반도체 업계에 대한 이야기가 참 많이 나왔죠. 미국의 강력한 중국 제재는 세계 반도체 시장을 들썩였던 키워드였고요.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도 아랑곳 않고 5나노(㎚·10억 분의 1m) 첨단 칩 제조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내년은 어떨까요? 중국은 2024년을 위해 어떤 것을 준비했고 무엇으로 세상에 도전장을 낼까. 또 한국 반도체 시장에 -
반도체 업계가 CXL에 주목하는 이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산업 기업 2023.12.23 09:05: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 지금 쓰고 계신 노트북 PC의 용량이 무한대로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생각 한번씩 해보셨죠? 노트북·태블릿·스마트폰 등 내 모든 전자 기기들이 엄청난 용량의 저장 공간을 공유하면서 마치 같은 생각을 한 듯 함께 연산하는 상상은요? 자, 오늘 저는 이런 공상과학같은 인간의 상상을 실현 시킬 'CXL'이라는 컴퓨팅 규격에 대해 취재했습니다. Compute Express -
반도체 업계가 CXL에 주목하는 이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2편>
산업 기업 2023.12.23 09:05: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1편에서 CXL의 의미와 현재까지 컨소시엄에서 구현된 규격을 살펴보고 오셨나요? 이번 편에서는 앞으로 CXL의 환경이 어떤 장치들로 구성될지 볼 예정입니다. 아주 간략하게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CPU, GPU 같은 연산 장치가 기본적으로 놓이게 됩니다. 그다음 PCIe라는 국도가 깔리고요. 여기서 중요한 게 ‘스위치’와 CXL 설계자산(IP)입니다. 외부에 있는 메모리 풀 -
클린룸 간 尹 대통령도 못 했다, ASML EUV 노광기 '언팩'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2편>
산업 기업 2023.12.16 09: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앞서 1편에서는 EUV 노광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 대당 수천 억 원 가격이 그냥 나오는 건 아닌 것 같죠. 이제 2편에서는 EUV 기술이 대단한 건 알겠지만 대체 무엇 때문에 이렇게 복잡한 EUV를 쓰게 된 건지 아주 간략하게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대통령 ASML 방문에서의 키워드였던 하이(High)-NA에 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반도체 8대 공정의 핵심인 노 -
클린룸 간 윤 대통령도 못 했다, ASML EUV 노광기 '언팩'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1편>
산업 기업 2023.12.16 09: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12일 윤석열 대통령이 네덜란드 국빈 방문 일정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대통령 일정에서는 ASML 본사 방문이 단연 최고의 화제였죠. 윤 대통령이 ASML과 반도체 동맹을 공고히 하기 위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ASML 클린룸을 직접 들어갔다는 겁니다. 이건 헌정 사상 초유일 뿐만 아니라 세계 대통령 중에서도 최초라고 하죠. ASML의 예우도 -
윤석열 대통령이 네덜란드 ASML에서 마주할 광경들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12.09 10: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다음주에 한국 반도체 업계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사건이 있을 예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주부터 네덜란드 국빈 방문 일정을 수행합니다. 대통령 일정 중 테크 기자인 제게 가장 흥미로운 것은 단연 ASML 클린룸 방문입니다. 지난 7일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오는 12일(현지시간) ASML 클린룸을 직접 들어간다고 발표했죠. 대한민국 대통 -
중국의 '게르마늄' 수출 통제…삼성 3나노 파운드리·D램도 겨눌까?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10.07 09:00:38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8월부터 중국이 게르마늄(Ge)·갈륨(Ga) 수출 규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죠. 미국이 주도로 하는 대(對)중국 반도체 압박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됩니다. 다행히 국내 반도체 강자인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이 규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일단 한숨은 돌리는데, 한 걸음만 더 들어가볼까요. 왜 중국이 굳이 게르마늄 -
3년 뒤 등장할 'HBM4' 세 가지 포인트 체크하기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10.02 10: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요즘 우리 나라 반도체 업계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빼면 이야기가 안되죠. 내년에는 지금 나오는 HBM3보다 기능이 더 업그레이드 된 HBM3E가 출시된다고 하는데, 이제 슬슬 다음 작품인 HBM4의 스펙이 궁금해지기 시작합니다. 과연 HBM4는 언제, 어떻게 무슨 모양으로 나올까. 그런데 말입니다. 몇 달 전 SK하이닉스(000660)가 살짝 힌트를 줬습니다. 애널리스트와 주 -
애플 '비전 프로'에 딱 맞춘 SK하이닉스 D램 뜯어보기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07.15 09: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얼마 전 SK하이닉스가 애플의 혼합현실(MR) 기기 '비전 프로'에 새로운 종류의 D램을 공급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기사로 전해드렸습니다. 정확히는 애플의 새로운 MR용 칩 'R1'과 연동하는 D램인데요. SK하이닉스 측은 “고객사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지만 다양한 매체들이 이 사실을 조명했죠. 이번 연재물에서는 기사 작성 중 생략된 여러 가지 취재 내용 -
네이처에 실린 삼성전자 '강유전체' 논문 언박싱 <2>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06.10 09:00:00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연재물부터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실린 삼성전자 강유전체 논문의 핵심 포인트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강유전체가 지니고 있는 ‘음의 정전용량’ 특성이 연산 장치에 얼마나 많은 이점을 주는지 살펴봤습니다. 강유전체를 활용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 구조인 ‘NCFET’ 콘셉트도 설명드렸죠. 오늘 2편에서도 삼성전자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
네이처에 실린 삼성전자 '강유전체' 논문 언박싱 <1>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06.06 10:00:54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얼마전 삼성전자의 한 논문이 세계적 과학 저널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지에 실렸죠.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강유전' 물질을 기반으로 시스템 반도체를 만들었다는 이야기입니다. 'NCFET'이라는 다소 낯선 반도체 소자 구조도 언급이 됐죠. 아, 여기서부터 탁 막히기 시작합니다. 도대체 강유전체가 무엇이길래 세계적인 과학 저널에도 실린걸까. NCFET은 무엇 -
'힘숨찐' 레거시 파운드리 세계를 알아보자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05.22 17:26:29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요즘 IT 시장에서는 '파운드리'라는 단어가 상당히 눈에 많이 띄죠. 파운드리는 고객사 칩을 대신 생산하는 반도체 회사를 말합니다. 삼성전자와 대만 TSMC, 인텔이 대결을 벌이는 전장(戰場)으로도 잘 알려져 있고요. 7㎚(나노미터·10억분의 1m), 5나노, 3나노 등 최첨단 공정 이야기가 나오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오늘은 평소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던 최첨단 공 -
美 마이크론 반도체 팹, 어디까지 가봤니? <2>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기업 2023.05.13 19:58:21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주 하이엔드 테크 기사에서는 세계 D램 반도체 3강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D램 공장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2편 기사에서는 마이크론이 또다른 메모리 종류인 '플래시(낸드와 노어)' 제품을 어디서 어떻게 생산하는 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D램과 마찬가지로 여러 M&A, 합종연횡 이야기가 섞여 있습니다. 아울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전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