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시리' 지지부진에 '스마트 홈 허브'까지 출시 연기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11 06:55:05애플이 인공지능(AI) 음성 비서인 ‘시리’의 개발 난항으로 차세대 제품인 '스마트 홈 허브’ 출시까지 연기했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의 애플 전문 기자인 마크 거먼은 "애플은 3월 스마트 홈 허브를 출시할 계획이었다”며 "하지만 이 기기는 시리 기능에 의존하기 때문에 출시가 연기됐다"고 보도했다. 스마트 홈 허브는 AI가 가전제품 앱을 제어하는 벽면 디스플레이 제품이다. 사용자의 음성으로 주요 기능이 작동될 것으 -
라디오 62대서 年1100만대 '명가'로…LG 가전의 '퀀텀점프' [biz-플러스]
경제·금융 경제동향 2025.03.11 06:30:007일 찾은 LG전자(066570) 창원공장의 스마트파크1 라인에 들어서자 웅장한 기계음 사이로 12초마다 냉장고가 만들어져 나왔다. 성형부터 판금·발포 등 핵심 공정을 처리하는 1층 가조립 라인에서는 50여 대의 무인 물류로봇(AGV)이 600㎏에 달하는 적재함에 부품을 싣고 부지런히 움직였다. 공장 바닥에 깔린 작은 QR코드가 필요한 부품이나 부족한 자재 정보를 보내면 AGV가 이를 인식해 움직였다. 천장에 달린 컨베이어벨트를 -
첨단소재·재무 전문가 불러모은 롯데케미칼…체질 개선 속도낸다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11 06:30:00롯데케미칼(011170)이 첨단소재와 재무 전문가를 잇달아 영입하며 체질 개선을 가속화하고 있다. 경쟁사보다 높은 기초화학 비중 탓에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고 판단한 롯데케미칼은 경쟁 화학사 출신의 사외이사 선임을 마다하지 않으며 체질 개선의 방향성을 수시로 점검해나갈 예정이다. 스페셜티 전문가 폭풍 영입…기술 자문 맡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25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조혜성 전 LG화학(051910) -
삼성 TV 19년 1위…그 뒤엔 '이건희 특명' 있었다 [Biz-플러스]
경제·금융 경제동향 2025.03.11 06:00:001998년 10월 29일 전 세계의 시선이 삼성전자(005930) TV로 쏠렸다. 최고령 우주비행사인 존 글렌 미국 상원의원이 탑승했던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 발사 장면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삼성전자의 디지털 TV를 타고 송출된 것이다. 10년간 500억 원에 달하는 연구개발(R&D) 투자와 500여 명의 연구 인력이 기술 개발에 매달린 결과였다. 디지털 TV의 첫 상용화는 흑백 TV에서 60여 년, 컬러 TV에서 30년가량 늦었던 삼성전자가 -
현대차, 연내 휴머노이드 현장 투입…'아틀라스' 맹훈련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10 06:00:00현대자동차그룹은 로봇 전문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올 뉴 아틀라스’가 연내 생산 현장 시범 투입을 두고 훈련을 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보스턴다이내믹스가 이달 5일(현지 시간) 공개한 인공지능(AI) 학습 과정 영상을 보면 아틀라스는 다양한 부품 가운데 연구진이 지시한 제품을 정확히 골라 지정 자리로 옮기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했다. 영상에는 보스턴다이내믹스 연구진이 아틀라스를 학습시키는 과정과 AI 기술을 -
SK키파운드리, SK파워텍 지분 인수…"SiC 반도체 키운다"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8 12:00:00SK하이닉스의 자회사인 SK키파운드리가 SK㈜가 보유한 SK파워텍(옛 예스파워테크닉스) 지분을 인수하며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전력반도체 역량 강화에 나선다. SK키파운드리는 7일 이사회를 열고 SK㈜로부터 자회사 SK파워텍의 지분 98.59%를 250억원에 인수하기로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SK㈜가 앞서 2022년 인수한 SK파워텍은 SiC 기반 전력반도체 설계·제조사다. SK키파운드리는 향후 경쟁 당국의 심사 등 관련 절차를 거쳐 -
미국의 中 견제 강화에…삼성重, 1조9000억 '잭팟' 수주 눈앞 [biz-플러스]
산업 산업일반 2025.03.08 10:29:42조선 분야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의 대중국 견제가 강화되면서 한국 조선업의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자국 조선업 부활을 위해 우리 조선사들에 협력을 요청한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해 항만이용료 부과하는 제재안을 검토하면서 해외 수주에서도 중국 대신 한국을 택하는 사례가 잇따른다. 7일 업계와 글로벌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삼성중공업(010140)은 브라질 최대 -
삼성전자, 차세대 패키징 소재 '유리 인터포저' 개발한다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7 07:44:12삼성전자(005930) 반도체(DS) 부문이 차세대 패키징 소재인 ‘유리 인터포저’ 개발에 착수했다. 값비싼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체하는 것은 물론 성능까지 끌어올리려는 취지다. 계열사 삼성전기(009150) 역시 내후년 양산을 목표로 ‘유리 기판’을 개발 중이어서 반도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한 지붕’ 내 기술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는 유리 인터포저를 개발하기 위해 소재 회사 켐트로닉 -
공화당 인맥 꽉 잡은 한화, 美 조선업 진출 승자될까 [biz-플러스]
산업 산업일반 2025.03.07 07:00:00한화(000880)그룹이 미국 공화당 인맥과 관계를 더욱 강화하면서 미 조선업 진출 의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지난해 미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 인수, 해군 함정 MRO(정비·보수·유지) 사업 수주 등 성과에 이어 올해 상선·함정 건조까지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화그룹은 이번달 말 에드윈 퓰너 미국 해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조지 P 부시 마이클베스트&프리드리히 로펌 파트너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한다. 미국 -
반도체를 '야구'에 빗댄 K-칩 수장…"팀 코리아, 美·日 약점 찾아 혁신해야"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6 07:30:00송재혁 삼성전자(005930) 반도체(DS)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한국반도체산업협회의 새로운 수장으로 선출됐다. 송 사장은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끈끈한 협력이 있다면 미국·중국·일본 등 반도체 강국들의 약점을 파고들어 새로운 혁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일 반도체협회는 경기 성남시 더블트리 바이 힐튼 호텔에서 2025년도 총회를 개최하고 송 사장을 새로운 협회장으로 선출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국내 최대 -
"기아 타스만, 한판 붙자" KGM '무쏘EV' 출격…픽업경쟁 본격화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6 07:29:22“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하고 어떤 요구도 다 맞출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곽재선 KG모빌리티(003620)(KGM) 회장은 5일 경기 평택 KGM 본사에서 열린 무쏘EV 신차 발표회에서 픽업 통합 브랜드인 ‘무쏘’의 시작을 알리며 이 같이 말했다. KGM은 앞으로 모든 픽업 모델을 무쏘 브랜드로 운영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파워트레인의 신차를 내놓을 예정이다. 곽 회장은 “그동안 많은 어 -
한 데 모인 조선·철강 후판 협상 당사자들…“脫 중국 위해 상생 필수”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6 06:30:00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정책의 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선 업계가 중국산 철강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후판 가격 협상에서 상반된 입장을 보이며 평행선을 걷던 두 업계가 미국의 관세정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혜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조선·철강 후판 담당자 한 곳에…“中 철강재 비중 최소화해야” 강구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 -
구광모, '기회의 땅' 인도 찾아 "지금이 1등 지킬 골든타임"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5 07:30:00구광모 LG(003550)그룹 회장이 세계 최대 잠재 시장으로 꼽히는 인도를 방문해 “우리가 어느 정도 앞서 있는 지금이 지속 가능한 1등을 위한 골든타임”이라고 밝혔다. 인도에서의 굳건한 리더십을 발판 삼아 그룹의 새로운 성장을 이끌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4일 ㈜LG에 따르면 구 회장은 2월 24일(현지 시간)부터 나흘간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와 수도 뉴델리를 찾아 연구개발(R&D), 생산, 유통망을 점검했다. -
SK이노 E&S, ‘미래 성장동력’ 신재생 전기 직접판매 1GW 넘었다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5 06:30:00SK이노베이션(096770) E&S(SKI E&S)가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 시장 진출 2년 만에 공급 용량이 1GW를 넘어섰다. SKI E&S는 산업용 전기요금 급등으로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도입 유인이 커진 만큼 PPA를 전사적인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사업 영역을 꾸준히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SKI E&S는 지난해까지 1.1GW 규모의 재생에너지 PPA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1GW는 원자력 발전소 1기의 전력 용량에 맞먹 -
또 수출 규제 터질라…삼성 반도체, 日 의존 소재 국산화 속도 [biz-플러스]
산업 기업 2025.03.04 08:12:57삼성전자(005930)가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핵심 소재를 국산화하는 작업에 다시 속도를 높여 주목된다. 미국·일본·중국·대만 등 반도체 패권 다툼이 심화하는 가운데 한일 관계가 언제든 악화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포석으로도 읽힌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이 ‘불화아르곤(ArF) 블랭크 마스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 측은 이를 위해 ArF 블랭크 마스크를 생산 중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