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28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8:11:0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28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8 18:09:10 -
또 멀어진 '6만전자·9만닉스'…반도체 치킨게임에 '개미 눈물'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7:14:44삼성전자(005930)가 ‘반도체 치킨게임’을 시사하자 SK하이닉스(000660)와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주가가 급락했다. 삼성전자 역시 하락을 면치 못했다. 삼성전자의 승부수로 인해 반도체 겨울이 더 혹독하고 길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4분기부터 SK하이닉스가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적자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국내 반도체 투톱에 대한 매수 행진을 해왔던 외국인들은 실망 매물을 쏟아내며 매도세로 돌아섰다. 다만 애널리스트들은 공급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며 바닥을 찍은 주가는 내년쯤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70% 하락한 5만 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일 두 달 만에 처음으로 ‘6만 전자’를 회복하며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던 개미들의 실망감도 커졌다. SK하이닉스 역시 전일 대비 7.33% 주저앉은 8만 34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코스피 시가총액 3위 자리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내줬다. 외국인 투자가들의 실망 매물도 쏟아지며 28일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1468억 원, SK하이닉스를 1459억 원가량 내다 팔았다. 국내 양대 반도체주 하락에는 삼성전자가 감산 없이 공격적인 경영을 이어가겠다고 밝힌 것이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1.39% 감소한 10조 852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실적 부진에 감산 기대가 커졌지만 한진만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인위적 감산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감축설을 일축시켰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다시 ‘반도체 치킨게임’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삼성전자는 D램과 낸드플래시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업계 최초로 극자외선(EUV)을 도입한 D램을 생산하는 등 기술력도 뛰어나다. 이에 규모의 경제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단기적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시장점유율을 늘리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삼성전자의 엄청난 자본력도 치킨게임 논란에 힘을 보탰다. JP모건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순현금은 시가총액의 33% 정도로 역사적 고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주가 하락과 달리 증권가에서는 장기적으로는 삼성전자가 이번 게임의 승자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감산 및 투자 축소 등으로) 일부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생존한 업체는 2024년 대규모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6만 7000원에서 7만 2000원으로 올려 잡았다. 최도연 신한투자증권 이사 역시 “경쟁사들이 감산, 투자 설비 감축 등으로 대응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삼성전자 홀로 물량 확대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업황 턴어라운드 시점 지연을 막으면서도 시장점유율까지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씨티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이번 결정으로 삼성전자는 메모리 다운사이클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기술 리더십도 공고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결정이 SK하이닉스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씨티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삼성전자의 정책이) 내년 낸드플래시 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날 SK하이닉스의 주가가 더 크게 떨어진 것도 이런 이유다. ‘강자’인 삼성전자가 이번 치킨게임에서 상처를 입는 정도라면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경쟁자들은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한화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11만 7000원에서 11만 원으로 낮췄고, SK증권(13만 원→12만 원), NH투자증권(12만 5000원→11만 7000원) 등도 일제히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한편 반도체주 주가 반등은 내년 1분기쯤, 실적 개선은 내년 2~3분기쯤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발언에 공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주가가 하락했지만 이는 과도해 보인다”며 “(삼성전자의 원래 의도는) 지난 분기 경쟁사에 뺏긴 2~3%의 시장점유율을 되찾아오겠다는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채 연구원은 바닥을 찍은 현 주가가 내년 1분기쯤 반등할 것으로 분석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센터장 역시 “업황 부진에 대한 부담은 이미 주가에 선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2~3분기쯤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당초 SK하이닉스는 올해 4분기 적자 전환 이후 내년 상반기 업황 개선에 힘입어 적자 탈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그동안 지배적이었으나 삼성전자의 강공으로 인해 흑자 전환 시기가 상당히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 옵션 시세(10월 28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7:10:10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0월 28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7:07:26 -
[마감 시황] 코스피 2260선 약세 마감…美 빅테크 실적 우려에 외인 매도세 확대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6:05:45코스피·코스닥 양대 시장이 모두 동반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전날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부진 여파로 외국인투자가들을 중심으로 순매도세가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날 증시에선 호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이 주가 상승을 이루는 등 개별장세가 나타났다. 28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38포인트(0.89%) 하락한 2268.40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12.05포인트(0.53%) 내린 2276.73에 출발했다. 오전 중 한때 강세 전환해 2290선을 넘어섰지만 오후장에서 다시 낙폭을 늘리며 결국 2260선으로 되돌아갔다. 유가증권시장에선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으로 매물을 출회하며 코스피 하락 압력을 가했다. 외국인이 1902억 원을, 개인이 677억 원을 순매도했다. 한편 기관은 2517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특히 금융투자가 4258억 원가량을 사들이며 지수를 견인했다. 간밤 미국 주요 기술주들이 부진한 실적을 내놓으면서 외국인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데다 원·달러 환율이 재차 상승하면서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알파벳, 메타 등 빅테크 실적 부진에 불안한 투자심리가 이어졌다”며 “기업 실적 발표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기업별 등락이 뚜렷해지는 장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 종목들의 주가들 역시 차이가 뚜렷했다. 실적 충격이 이틀동안 지속된 SK하이닉스(000660)(-7.33%)는 낙폭을 확대하며 시총 3위 자리를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내줬다. 삼성전자(005930)(-3.70%) 역시 하락 마감했다. 한편 계열사들이 잇따라 호실적을 발표한 현대차(005380)(1.23%)와 기아(000270)(0.30%)는 상승세를 유지했고 LG화학(051910)(2.67%) 역시 주가 상승폭이 컸다. 이날 코스닥은 전일 대비 7.46포인트(1.07%) 빠진 687.63에 장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는 4.38포인트(0.63%) 내린 690.71에 출발해 역시 한때 강세 전환했지만 다시 낙폭을 늘리며 680선에서 마무리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개인과 외국인이 매수 주체로 나섰다. 개인은 751억 원을, 외국인은 373억 원을 사들였다. 한편 기관은 코스닥에선 1048억 원어치를 팔았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위권에선 3개 종목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2차전지 부품주인 에코프로비엠(247540)(3.16%), 엘앤에프(066970)(4.57%) 등의 상승세가 비교적 컸고 카카오게임즈(293490)(0.26%) 역시 소폭 강세를 기록했다.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75%), HLB(-0.13%), 셀트리온제약(068760)(-0.90%), 에코프로(086520)(-1.68%), 펄어비스(263750)(-1.69%) 약세 마감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28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5:42:02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28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8 15:39:26◇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삼성전자(005930) 삼성SDI(006400) 현대모비스(012330) LG에너지솔루션(373220) LG이노텍(011070) 금양(001570) POSCO홀딩스(005490) 포스코케미칼(003670) LG화학(051910) 현대모비스 아모레퍼시픽(090430) 현대차(005380) 하나금융지주(086790) KT&G S-Oil(010950) OCI(010060) KB금융(105560) LG전자(066570) 기아(000270) LIG넥스원(079550) 신한지주(05555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
[마감 시황] 개인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 코스피 2268.40(▼20.38, -0.89%)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2.10.28 15:34:08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에, 전 거래일(2288.78)보다 20.38p(-0.89%) 내린 2268.40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676억과 1,918억을 각각 순매도 해 하락장을 주도했으며,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한 기관은 2,513억을 순매수 했다.업종별로는 전기전자업(-3.11%), 철강금속업(-1.27%), 건설업(-1.12%) 등이 하락한 반면, 섬유의복업(+2.49%), 운수장비업(+2.13%), 기계업(+1.85%) 등은 상승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3.70% 내린 5만 7300원에 장을 마감한 가운데, 진원생명과학(011000)(-11.83%), 인바이오젠(101140)(-11.78%), STX(011810)(-7.96%)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금양(001570)(+26.94%), 현대엘리베이(017800)(+9.49%), 경동인베스트(012320)(+8.19%)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504개, 상승종목은 349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마감)] 20.38포인트(0.89%) 내린 2268.40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0.28 15:33:07[코스피(마감)] 20.38포인트(0.89%) 내린 2268.40 마감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2.56%↑)
증권 News봇 2022.10.28 15:20:2828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20p(-0.93%) 하락한 2267.58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3.17%), 철강금속업(-1.29%), 건설업(-1.12%)이며, 강세업종은 섬유의복업(+2.56%), 운수장비업(+2.06%), 기계업(+1.8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3:3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2,910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328억, 외국인은 2,66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금양(001570)이 27.20% 오른 24,55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엘리베이(017800)(+8.86%), 에스엘(005850)(+8.1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진원생명과학(011000)(-11.72%), 인바이오젠(101140)(-10.94%), 성신양회우(004985)(-8.2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4개, 상승종목은 35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2.08%↑)
증권 News봇 2022.10.28 15:00:1728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87p(-0.87%) 하락한 2268.91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3.03%), 철강금속업(-1.17%), 건설업(-1.05%)이며, 강세업종은 운수장비업(+2.17%), 섬유의복업(+2.08%), 기계업(+1.6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2:68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4:3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2,60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350억, 외국인은 2,32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금양(001570)이 28.50% 오른 24,800원을 기록 중이고, 삼성공조(006660)(+9.36%), 경동인베스트(012320)(+8.5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진원생명과학(011000)(-10.54%), 인바이오젠(101140)(-9.82%), 성신양회우(004985)(-7.8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37개, 상승종목은 32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2.32%↑)
증권 News봇 2022.10.28 14:30:2728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42p(-0.54%) 하락한 2276.36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2.48%), 철강금속업(-0.98%), 건설업(-0.60%)이며, 강세업종은 운수장비업(+2.51%), 기계업(+2.38%), 섬유의복업(+2.3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8:3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2,72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665억, 외국인은 2,11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금양(001570)이 26.94% 오른 24,50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엘리베이(017800)(+8.86%), 삼성공조(006660)(+8.3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진원생명과학(011000)(-10.32%), 인바이오젠(101140)(-9.12%), 티와이홀딩스(363280)(-6.8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2개, 상승종목은 35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전기전자업(-2.52%↓)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53%↓)
증권 News봇 2022.10.28 14:01:15오후 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3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기전자업(-2.52%), 철강금속업(-1.03%), 건설업(-0.44%)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기계업(+2.64%), 운수장비업(+2.37%), 섬유의복업(+2.17%)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전기전자업은 외국인의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전기전자업은 최근 7일 동안 4.33%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2위), 동일 기간 동안 개인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전기전자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이수페타시스가 -0.17%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삼화콘덴서(-0.16%), 삼성SDI우(-0.15%)가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와이투솔루션(011690)(+8.89%), 솔루스첨단소재(+5.31%), SK아이이테크놀로지(+3.73%)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2,045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며, 운수장비업과 비금속광물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2.14%↑)
증권 News봇 2022.10.28 14:00:1328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22p(-0.49%) 하락한 2277.56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2.43%), 철강금속업(-0.97%), 건설업(-0.44%)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2.59%), 운수장비업(+2.39%), 섬유의복업(+2.1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6:3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2,54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536억, 외국인은 2,04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금양(001570)이 28.24% 오른 24,75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엘리베이(017800)(+9.07%), 와이투솔루션(011690)(+8.5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진원생명과학(011000)(-12.26%), 인바이오젠(101140)(-7.99%), 한화솔루션(009830)(-7.4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59개, 상승종목은 38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