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6.20%↑)
증권 News봇 2022.10.14 11:30:0714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3.32p(+2.47%) 상승한 2216.19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6.20%), 건설업(+4.20%), 서비스업(+4.0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64:3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6:64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2,234억, 기관은 1,71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906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미래산업(025560)이 29.94% 오른 10,200원을 기록 중이고, 세아특수강(019440)(+24.33%), 디아이씨(092200)(+16.5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C코트렐(119650)(-14.39%), 남선알미우(008355)(-10.45%), SK네트웍스우(001745)(-6.3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864개, 하락종목은 5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6.11%↑)
증권 News봇 2022.10.14 11:00:0414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4.81p(+2.53%) 상승한 2217.68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6.11%), 건설업(+4.47%), 서비스업(+4.2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73:27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3:67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939억, 기관은 1,42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33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미래산업(025560)이 28.66% 오른 10,100원을 기록 중이고, 세아특수강(019440)(+17.21%), 퍼스텍(010820)(+14.9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C코트렐(119650)(-14.39%), 남선알미우(008355)(-9.33%), SK네트웍스우(001745)(-6.3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868개, 하락종목은 4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9:5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통신업(2.12%↑)
증권 News봇 2022.10.14 10:30:0514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6.00p(+2.13%) 상승한 2208.87로,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5.07%), 서비스업(+3.96%), 건설업(+3.8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통신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1:69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446억, 기관은 90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34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미래산업(025560)이 18.60% 오른 9,310원을 기록 중이고, 퍼스텍(010820)(+15.16%), 한미글로벌(053690)(+14.1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C코트렐(119650)(-14.39%), 남선알미우(008355)(-8.21%), 에이엔피(015260)(-4.9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853개, 하락종목은 6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시황] 한숨 돌린 증시…코스피 장 초반 2%대 반등
증권 국내증시 2022.10.14 10:12:1014일 오전 9시 47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6.19포인트(2.14%) 오른 2209.06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37.79포인트(1.75%) 오른 2200.66 출발한 뒤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가 925억 원. 440억 원 사들이고 있다. 반면 개인은 1398억 원 순매도 중이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중에선 삼성전자(005930)(1.63%), LG에너지솔루션(373220)(1.68%), 삼성전자우(005935)(0.79%), 삼성SDI(006400)(0.84%), LG화학(051910)(1.91%), 현대차(005380)(1.22%), 기아(000270)(0.59%), NAVER(035420)(5.99%)는 상승세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전날보다 0.25% 떨어진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미국 증시가 상승세로 마감한 것이 국내 증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미국 9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올랐는데,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예상치인 8.1%를 웃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6% 올라 1982년 8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이에 물가가 정점을 찍었다는 인식과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법인세 인상 등 감세안과 관련해 추가적인 방향 전환을 할 것 같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영국발 금융 불안이 일부 완화한 것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영국 정부의 감세안 일부 추가 변경에 따른 영국 파운드, 국채금리 하락 등 영국발 금융 불안 완화가 간밤 미국 장 급등의 배경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시장의 극단적인 변동성 장세로 인해 급증한 숏포지션들의 숏커버링 물량 유입, 기술적 저가매수 신호에 따른 수급 상방 요인이 발생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증시 반등세가 긴 호흡으로 이어지긴 어렵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날 옵션 만기로 낙폭이 컸던 만큼 오늘 증시는 급반등이 가능하지만, 긴 호흡으로 보면 단기 안도에 불과하다"며 "경기침체와 실적 악화 등 펀더멘털(경제 기초 체력) 변수에 의한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9.65포인트(3.02%) 오른 671.24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13.58포인트(2.08%) 오른 665.17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95억 원, 44억 원어치 사들이고 있다. 반면 개인은 564억 원을 내다팍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은 모두 빨간불이 커졌다. 에코프로비엠(247540)(1.24%),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2.18%), 엘앤에프(066970)(1.94%), HLB(028300)(1.39%), 에코프로(086520)(7.94%), 카카오게임즈(293490)(11.16%), 펄어비스(263750)(4.24%), 셀트리온제약(068760)(2.80%), 리노공업(058470)(1.24%), JYP Ent.(035900)(4.03%) 등은 상승세다. 특히 바닥 모르고 추락하던 카카오게임즈는 자회사 라이온하트가 분할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는 발표에 장 초반 모처럼 반등하고 있다. 한편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2.83%)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2.60%),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2.23%)가 일제히 상승했다. -
의료정밀업(+4.02%↑)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2.02%↑)
증권 News봇 2022.10.14 10:00:09오전 10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8개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의료정밀업(+4.02%), 서비스업(+3.65%), 건설업(+3.58%) 등이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의료정밀업은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55(매도):45(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료정밀업은 최근 7일 동안 -3.70%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13위), 동일 기간 동안 개인과 외국인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료정밀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미래산업(025560)이 +19.36%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에스디바이오센서(+4.97%), 우진(+3.81%)이 뒤를 받치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1,105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음식료품업과 종이목재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50:50으로 보합세, 매도강세 업종은 건설업(3.58%↑)
증권 News봇 2022.10.14 10:00:0414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3.60p(+2.02%) 상승한 2206.47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4.02%), 서비스업(+3.65%), 건설업(+3.5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5:65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105억, 기관은 44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60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미래산업(025560)이 19.36% 오른 9,370원을 기록 중이고, KR모터스(000040)(+13.61%), 퍼스텍(010820)(+12.4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C코트렐(119650)(-14.58%), 남선알미우(008355)(-8.02%), 에이엔피(015260)(-5.8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833개, 하락종목은 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50:50으로 보합세,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3.17%↑)
증권 News봇 2022.10.14 09:30:0214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5.62p(+1.65%) 상승한 2198.49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서비스업(+3.41%), 의료정밀업(+3.17%), 건설업(+3.0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1:69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323억, 기관은 21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56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미래산업(025560)이 22.29% 오른 9,600원을 기록 중이고, 원림(005820)(+14.88%), KR모터스(000040)(+11.0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C코트렐(119650)(-17.20%), 남선알미우(008355)(-6.72%), 진흥기업우B(002785)(-3.9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834개, 하락종목은 5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ELS·DLS, 2800억 원금 손실구간 진입
증권 정책 2022.10.14 09:28:34올 상반기 손실 구간(녹인·Knock-In)에 진입한 파생결합증권(ELS·DLS)이 2799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1000억 원어치는 연내 만기가 돌아와 대규모 손실이 예상된다. 14일 금융감독원은 6월 말 기준 녹인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 규모가 2799억 원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36.1%인 1012억 원은 올해 안에 만기가 도래한다. 주가연계증권(ELS)은 보통 6개월마다 평가해 상환 여부를 결정 짓는다. 만기 때까지 녹인 구간에 있으면 손실이 확정된다. 하반기에도 글로벌 증시 침체가 이어지면서 올해 만기인 1012억 원 가운데 대부분은 큰 폭의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자산 가격이 일정 구간 안에서 움직이면 중위험·중수익의 특성을 갖고 있지만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고 금리가 뛰면 녹인 구간에 진입하면서 손실 가능성이 증폭된다. 금감원은 “주요 주가지수 하락에 따라 원금 비보장형 ELS를 중심으로 조기 상환이 감소하고 녹인이 발생한 상품은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금리 상승, 경기 침체 등의 우려가 커져 ELS·DLS 투자자의 손실 위험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생결합증권을 발행·운용하는 증권사도 손실을 입는 것은 매한가지다. 올 상반기 증권사는 파생결합증권 운용과 관련해 826억 원의 손실을 냈다. 전년 동기 5865억 원 이익과 비교하면 6727억 원(110.3%)이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자체 헤지 운용이 어려워지고 발행·상환 물량이 감소하면서 증권사들의 손익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과 상환액은 모두 감소했다. 발행액은 29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45조 원) 대비 34.9% 줄었다. 상환액은 17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52조2000억 원) 대비 66.3% 감소했다. 상환액이 발행액을 밑돌면서 잔액은 증가했다. 상반기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은 94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말(84조 7000억 원)보다 10조 2000억 원 늘어났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94조 9000억 원) 중 자체 헤지 규모는 54조 6000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6조 2000억 원(12.8%) 늘었다. 헤지 거래 상대방은 외국계 금융회사가 30조 5000억 원으로 75.7%, 국내 금융사는 24.3%로 집계됐다. -
[코스피(개장)] 37.79포인트(1.75%) 오른 2200.66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2.10.14 09:05:35[코스피(개장)] 37.79포인트(1.75%) 오른 2200.66 출발 -
[개장 시황] 코스피 2200.66.. 개인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37.79, +1.75%)
증권 News봇 2022.10.14 09:05:02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반전했다.14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7.79p(+1.75%) 오른 2200.66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301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78억, 기관은 23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서비스업(+2.39%), 건설업(+2.34%), 기계업(+2.26%)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천일고속(000650)이 8.61% 오른 65,600원을 기록 중이고, STX중공업(071970)(+7.36%), 평화산업(090080)(+7.1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KC코트렐(119650)(-14.77%), 남선알미우(008355)(-6.72%), 진흥기업우B(002785)(-3.9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841개, 하락종목은 3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13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0.13 18:11:30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13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13 18:09:26 -
쏟아지는 월배당 ETF…시가배당률 1.5~9.7% 천차만별
증권 재테크 2022.10.13 17:33:46매월 월급처럼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 배당’ 상장지수펀드(ETF)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9월 지급한 분배금의 시가배당률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가 변동성이 커지며 시가배당률 격차가 벌어졌다. 전문가들은 같은 ‘월 배당’ 상품이라고 해도 분배금뿐 아니라 주가 변동 가능성, 수수료 등도 상품별로 제각각인 만큼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는 상품을 고를 것을 권했다. 13일 한국펀드평가 등에 따르면 6월 27일 첫선을 보였던 국내 월 배당 ETF는 약 4개월여 만인 현재 총 13개 종목, 순자산 4220억 원 규모로 증가했다. 이 중 9개 종목이 지난달 분배금을 나눴는데 주당 13~67원으로 차이가 났다. 이날 해당 ETF를 사들여 매월 비슷한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 받는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예상 시가배당률이 1.46~9.74%까지 벌어지는 것이다. 시가배당 수익률로 따져볼 경우 커버드콜 상품의 이익이 두드러졌다. KB자산운용의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200커버드콜ATM’이 각각 주당 60원의 월 분배금을 지급해 연간으로 환산할 경우 시가 배당률이 9.7%, 8.8%에 달했다. 두 상품은 모두 코스피200에 해당하는 주식을 대상으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수익을 냈다. 커버드콜은 현물 주식 매수와 콜옵션(미리 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 매도를 동시에 진행해 수익을 내는 전략이다. 주가가 오를 경우 시세 차익과 콜옵션 매도를 통한 수익을 동시에 챙길 수 있으며 주가가 떨어지더라도 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나눠 어느 정도 수익률을 방어한다. KB자산운용의 한 관계자는 “코스피200에 포함된 배당 주식을 통해 연 3%, 옵션 매도 프리미엄으로 연 10% 수준의 수익을 얻는 상품”이라며 “기준가를 1만 원으로 볼 때 매월 약 0.6%(연 7.2%)의 분배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리츠 상품도 분배금 측면에서는 주목할 만했다. ‘KODEX TSE일본리츠’가 주당 67원의 월 분배금을 지급해 현재 주가 기준 연 환산 시가배당률이 6.53%다. ‘TIGER 미국MSCI리츠’와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도 40원, 42원의 월 분배금을 나눠 연 환산 4.5% 수준의 시가배당률을 달성했다. 미국 주요 증시의 배당성장주를 주로 담고 있는 ‘TIGER 미국다우존스30’과 ‘SOL 미국S&P500’의 경우 시가배당률로는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저조했다. 지난달 각각 40원, 13원의 분배금을 나눠 연 환산 시가배당률로는 1~2% 수준에 그쳤다. 다만 배당률이 아무리 높더라도 주가 하락이 더욱 가파를 경우 총 수익률(토털 리턴)은 저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9월 한 달 주가 변동률을 살펴보면 미국 리츠 ETF의 손실이 -13.6%에 달해 월 배당 ETF 가운데서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TIGER200 커버드콜ATM’ 역시 9월 주가가 8.56% 내리며 셈법이 복잡해졌다. 반면 ‘TIGER다우존스30’과 ‘SOL 미국S&P500’ ETF의 경우 9월 손실률이 -2.5~3.0% 수준에 그쳤다. 윤재홍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월 배당 ETF는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지만 주가 및 분배금의 하락 위험과 배당의 지속 가능성 등에 유의해 투자해야 한다”며 “총 수익률을 중점으로 볼 경우 배당 성장주를 담고 있는 ETF를, 매월 들어오는 소득에 초점을 맞출 경우 커버드콜 상품이 유리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 옵션 시세(10월 13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13 17:06:55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0월 13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13 17:02:57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