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2월 12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2.12 18:14:37 -
'아바타2'에 CJ CGV 주가 뛰는데…6200억 'CB 전환물량 폭탄' 대기 중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7:38:48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수렁에 빠졌던 CJ CGV(079160)의 주가가 역대급 흥행작인 영화 ‘아바타’ 후속 편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했다. 정부의 실내 마스크 해제 검토, 3분기 이후 흑자 전환 등도 호재로 작용했다. 다만 지난해와 올해 발행한 7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로 인한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은 주가 상승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CJ CGV는 전일 대비 1.45% 오른 2만 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CJ CGV는 최근 일주일(5~12일) 동안 13.24% 급등하며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1.91%)의 흐름과는 대조된다. 13년 만에 돌아오는 ‘아바타’ 후속 편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배경으로 꼽힌다. 2009년 12월 개봉해 전 세계적으로 대흥행한 ‘아바타’가 14일 후속 편으로 돌아온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IMAX 및 4DX의 가격은 2만 원대 후반으로 티켓 평균 가격(1만 1000원)의 2.5~3배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달 9일 기준 CGV 용산 IMAX의 초기 5일간(14~18일) 좌석은 이미 대부분 매진됐다”며 “개봉 전부터 매진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실내 마스크 해제와 관련해 이달 말까지 최종 조정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점도 호재다. 연일 적자 행진을 이어왔던 CJ CGV가 올해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한 데다 앞으로도 흑자 폭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4분기 CJ CGV는 10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연구원은 “올해 4월부터 허용된 상영관 내 취식에 이어 마지막 관문인 실내 마스크 해제 움직임도 가시화하고 있다”며 “극장은 더욱 활기를 띨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주가의 추세적 상승이 만만찮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막대한 규모의 CB 전환 물량이 대기 중이기 때문이다. 올해 7월 CJ CGV는 4000억 원 규모의 CB를 발행했으나 7.8%의 청약률을 기록하며 증권사들이 3700억 원에 가까운 CB 실권 물량을 받았다. CB는 올해 8월 21일부터 전환가격인 1주당 2만 2000원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데 만약 증권사들이 인수한 전체 CB(약 3689억 원)가 주식으로 전환되면 약 1677만 주의 신주가 발행된다. 현 상장 주식 수(4771만 2645주)의 35%에 해당한다. CJ CGV는 지난해 6월에도 3000억 원 규모의 CB를 발행한 바 있다. 전환 가액은 2만 6000원으로 당시 거래가(3만 2000원 선) 대비 낮아 흥행에 성공했다. 올해 11월 나온 CJ CGV의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9월 기준 미상환 CB는 현 상장 주식 수의 55%에 해당하는 약 6217억 원 규모로 풀이된다. 정지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6월과 올해 7월 발행한 CB 합계가 CJ CGV의 시가총액 규모와 비슷해 부채비율 부담이 높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단기간 동안 동시에 CB 전환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 연구원은 “올해 발행된 CB는 주관사가 모두 인수해 단기간에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며 “전환이 발생하더라도 전환가격이 2만 2000원이어서 현 주가를 고려했을 때 상승 여력이 매우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 옵션 시세(12월 12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7:37:4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2월 12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7:16:46 -
[마감 시황] 美 FOMC 앞두고 코스피 2370선 약세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6:51:41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등 주요 매크로 이벤트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유입되며 코스피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며 리오프닝(경제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후퇴한 점도 증시를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1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02포인트(0.67%) 내린 2373.02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5.46포인트(0.65%) 내린 2373.58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7억 원, 440억 원 순매도했다. 반면 외국인은 178억 원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05930)(-1.49%), LG에너지솔루션(373220)(-2.52%), SK하이닉스(000660)(-0.49%),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45%), 삼성전자우(005935)(-0.73%), NAVER(035420)(-0.13%), 기아(000270)(-0.15%)는 약세로 마감했다. 반면 삼성SDI(0.78%), LG화학(0.16%), 현대차(005380)(0.62%)는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특별한 상승 모멘텀이 부재한 가운데 이번주 미국 소비자물가, 12월 FOMC 등 주요 매크로 이벤트 앞두고 경계심리 유입에 증시 하락세가 나타났다"면서 "한편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중국 리오프닝 관련 기대감도 후퇴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요 지수는 미국의 11월 CPI와 FOMC 경계감에 약세를 나타냈다”면서 “달러 강세에 따른 외국인 매물 출회도 지수에 부담이 됐다”고 분석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27포인트(0.59%) 내린 715.33에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2.61포인트(0.36%) 내린 716.88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69어 원, 240억 원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은 124억 원 규모 내다 팔았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 중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61%), 에코프로(086520)(-0.79%), 셀트리온제약(068760)(-0.91%), 리노공업(058470)(-3.79%)은 하락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0.40%), 엘앤에프(066970)(1.66%), 카카오게임즈(293490)(1.05%), 펄어비스(263750)(3.70%), 스튜디오드래곤(253450)(6.98%)은 상승 마감했다. -
"카뱅 앱에서 주식 매매를"… 카뱅, 한투증권과 제휴서비스 출시
경제·금융 은행 2022.12.12 15:54:04카카오뱅크가 한국투자증권과 협업해 카카오뱅크 앱에서 ‘국내주식 투자’ 제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뱅크 앱에서 한국투자증권이 제공하는 계좌개설, 증권 지수 및 개별 종목 시세조회, 증권거래, 나의 자산 현황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는 그동안 증권사의 주식 계좌 개설만 지원해왔다. 투자가 익숙하지 않은 고객을 겨냥해 불필요한 기능은 빼고 편리한 UI(사용자 인터페이스)/UX(사용자 경험)을 더했다는 게 카카오뱅크 측 설명이다. 주식 투자 시 부족한 금액을 자동 계산해 카카오뱅크 계좌에서 간단하게 이체하는 기능도 탑재했다. 이미 카카오뱅크를 통해 한국투자증권 계좌를 개설한 고객은 계좌 등록만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직 한국투자증권 계좌가 없는 고객은 계좌 개설 후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다.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진행한다. 국내주식 투자 서비스 신청 고객 중 선착순 5만 명에게 투자 지원금 2000원을 지급한다. 카카오뱅크 앱에서 처음으로 한국투자증권 계좌를 만든 고객에게는 ‘코스피 200’ 종목 주식 1주를 랜덤으로 제공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주식 투자가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도 편리하게 주식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마련했다”며 “은행 업무뿐 아니라 투자 플랫폼으로서 진일보한 서비스를 계속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2월 12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5:37:35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2월 12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2.12 15:35:53◇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한미약품(128940)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하이닉스(000660) 삼성SDI(006400) KB금융(105560) LG화학(051910) 카카오(035720) 포스코케미칼(003670) 하이브(352820) 롯데케미칼(011170) 씨에스윈드(112610) 크래프톤(259960) 삼성생명(032830) 현대두산인프라코어(042670) 이마트(139480) HD현대(267250) -
[코스피(마감)] 16.02포인트(0.67%) 내린 2373.02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5:34:10[코스피(마감)] 16.02포인트(0.67%) 내린 2373.02 마감 -
[마감 시황]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코스피 2373.02(▼16.02, -0.67%)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2.12.12 15:34:10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전 거래일(2389.04)보다 16.02p(-0.67%) 내린 2373.02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5억과 441억을 각각 순매도 해 하락장을 주도했으며,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한 외국인은 179억을 순매수 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업(-3.58%), 건설업(-2.95%), 섬유의복업(-2.58%)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고, 기계업(+0.65%), 금융업(+0.19%), 운수장비업(+0.14%)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였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1.49% 내린 5만 9500원에 장을 마감한 가운데, 동국제강(001230)(-9.67%), 동부건설우(005965)(-9.04%), 제주은행(006220)(-8.53%)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국제약품(002720)(+29.78%), 조일알미늄(018470)(+24.42%), 제일파마홀딩스(002620)(+8.46%)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486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63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3.61%↓)
증권 News봇 2022.12.12 15:20:2612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87p(-0.54%) 하락한 2376.17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3.61%), 건설업(-2.92%), 섬유의복업(-2.36%)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56%), 통신업(+0.32%), 금융업(+0.3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3:3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81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44억, 기관은 19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국제약품(002720)이 29.78% 오른 5,600원을 기록 중이고, 조일알미늄(018470)(+21.66%), 제일파마홀딩스(002620)(+9.4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10.04%), 동부건설우(005965)(-9.60%), 제주은행(006220)(-8.3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4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6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3.32%↓)
증권 News봇 2022.12.12 15:00:2312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74p(-0.62%) 하락한 2374.30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3.32%), 건설업(-3.16%), 섬유의복업(-2.69%)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48%), 금융업(+0.12%), 운수장비업(+0.0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71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273억, 기관은 24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국제약품(002720)이 25.14% 오른 5,400원을 기록 중이고, 조일알미늄(018470)(+23.73%), 제일파마홀딩스(002620)(+10.9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계양전기우(012205)(-9.73%), 동국제강(001230)(-8.92%), 다이나믹디자인(145210)(-8.7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22개, 상승종목은 32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3.24%↓)
증권 News봇 2022.12.12 14:30:1412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53p(-0.65%) 하락한 2373.51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3.24%), 건설업(-3.19%), 섬유의복업(-2.25%)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73%), 금융업(+0.22%), 운수장비업(+0.1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56:4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38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409억, 기관은 18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23.27% 오른 2,675원을 기록 중이고, 한진칼우(18064K)(+18.20%), 국제약품(002720)(+16.5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9.29%), 다이나믹디자인(145210)(-7.43%), 제주은행(006220)(-7.3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99개, 상승종목은 35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료정밀업(-3.15%↓)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58%↓)
증권 News봇 2022.12.12 14:00:49오후 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5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의료정밀업(-3.15%), 건설업(-2.92%), 섬유의복업(-2.44%)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기계업(+0.81%), 금융업(+0.36%), 운수장비업(+0.14%)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의료정밀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료정밀업은 최근 7일 동안 -1.31%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8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료정밀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케이씨가 -0.54%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한컴라이프케어(-0.49%), 덴티움(-0.22%)이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우진(+3.44%), 미래산업(+2.01%)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467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며, 화학업과 기계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91%↓)
증권 News봇 2022.12.12 14:00:1512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98p(-0.54%) 하락한 2376.06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3.15%), 건설업(-2.91%), 섬유의복업(-2.63%)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79%), 금융업(+0.35%), 운수장비업(+0.2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58:4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3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467억, 기관은 13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20.51% 오른 2,615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5.42%), 국제약품(002720)(+13.5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9.29%), 제주은행(006220)(-7.20%), 동부건설우(005965)(-6.7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9개, 상승종목은 35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