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2월 9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09 17:08:23 -
[마감 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동반 순매수에 2380선 안착
증권 국내증시 2022.12.09 16:00:12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2389선에서 장을 마감했다. 전날 미국 증시발 훈풍에 힘입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반도체주와 인터넷기술(IT)주들이 큰 폭 올랐지만,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에 2차전지주들은 큰 낙폭을 면치 못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96포인트(0.76%) 오른 2389.0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65포인트(0.49%) 오른 2382.73에 출발했다. 오후장 들어서 상승폭을 키우던 코스피는 한때 2390선을 터치했지만 결국 0.96포인트 차이로 2380선에서 하루를 마무리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매수 주체로 나섰다. 외국인은 989억 원, 기관은 4077억 원어치를 사들였다. 특히 기관 중 금융투자가 4045억 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연기금 등도 222억 원을 샀다. 한편 개인은 이날 5083억 원을 순매도했다. 간밤 미 증시 3대지수가 최근 하락세에 따른 반발 매수 유입으로 모두 상승 마감한 데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역시 강세를 기록한 점이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중국의 방역 완화 영향으로 소비 관련주 역시 반등했다는 분석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내년 하반기 반도체 업화 회복 기대감이 반영됐고, 콘텐츠 관련주들 역시 중국발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강세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은 혼조세로 마무리했다. 삼성전자(2.03%), SK하이닉스(3.43%) 등이 상승 마감하며 각각 6만 원선, 8만 원선을 되찾았다. 전날 나스닥 강세에 힘입어 NAVER(035420)(5.12%), 카카오(035720)(4.68%) 등 IT주들 역시 주가가 큰 폭 뛰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373220)(-3.01%), 삼성SDI(006400)(-6.93%), LG화학(051910)(-6.42%)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낙폭이 컸다. 4분기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커진 데다 테슬라 주가 하락세에 업종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6.97포인트(0.98%) 오른 719.49에 장마감했다. 코스닥은 전일 대비 4.72포인트(0.66%) 오른 717.24에 출발했다. 지수는 장 중 내내 강세를 유지하다 결국 719선에 안착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197억 원을 기관이 111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은 338억 원을 팔았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들 가운데서도 2차전지 관련주들의 하락폭이 컸다. 에코프로비엠(247540)(-2.42%), 엘앤에프(066970)(-6.03%), 에코프로(086520)(-5.78%) 등 모두 약세 마감했다. 한편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한 스튜디오드래곤(253450)(10.21%)은 급등세를 기록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2월 9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09 15:51:03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2월 9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2.09 15:48:25◇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삼성전자(005930) 카카오(035720) NAVER(035420) SK하이닉스(000660) POSCO홀딩스 셀트리온(068270) LG화학(051910) 한국전력(015760) 신한지주(055550) 삼성생명(032830) 포스코케미칼(003670) LG생활건강(051900)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이노베이션(096770) KB금융(105560) 하이브(352820) 팬오션(028670)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 코스피 2389.04(▲17.96, +0.76%) 상승 마감
증권 News봇 2022.12.09 15:34:12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2371.08)보다 17.96p(+0.76%) 오른 2389.04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981억, 기관은 4,078억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었으며, 개인은 5,084억을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5.75%), 운수창고업(+2.88%), 서비스업(+2.53%)이 강세를 보였으며, 비금속광물업(-3.18%), 화학업(-1.14%), 섬유의복업(-0.91%)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6.25% 오른 9,73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영진약품(003520)(+10.95%), 코스맥스(192820)(+10.71%)가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SKC(011790)(-7.01%), 삼성SDI(006400)(-6.93%), LG화학(051910)(-6.42%)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625개, 하락종목은 251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마감)] 17.96포인트(0.76%) 오른 2389.04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2.09 15:33:58[코스피(마감)] 17.96포인트(0.76%) 오른 2389.04 마감 -
[시그널] 트러스톤운용 "태광산업, 흥국생명 지원 반대…유상증자 강행하면 법적조치"
산업 기업 2022.12.09 15:29:28주주행동주의 전략을 펼치는 트러스톤자산운용이 “태광산업이 흥국생명의 자본 확충을 위해 유상증자에 참여하려는 시도에 반대한다”면서 강행할 경우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9일 밝혔다.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산업의 지분 5.8%를 보유하고 있다. ★본지 12월 9일자 10면 참조 트러스톤자산운용 측은 “흥국생명의 유동성 리스크에 따라 흥국생명의 증자가 필요하지만 이는 흥국생명의 대주주 이호진 전 회장이 해결해야 할 일”이라면서 “흥국생명 지분을 1주도 갖고 있지 않은 태광산업과 주주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태광산업은 최근 이사회 소집 계획을 밝히면서 흥국생명 유상증자 참여를 안건으로 올렸다. 태광산업은 13일 이사회 의결을 거치면 약 4000억 원 규모의 흥국생명 유상증자를 실행할 계획이다. 흥국생명은 11월 외화 5억 달러(56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조기 상환하면서 임시방편으로 은행으로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를 상환하고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해 자본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은 태광산업과 흥국생명의 최대주주지만 두 회사 간 지분이 연결돼 있지는 않다. 업계에서는 이 전 회장이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거나 지분 매각 등을 거론하지만 태광그룹 측은 현금화할 수 있는 사재가 많지 않다는 입장이다. 트러스톤 측은 그동안 태광산업 측에 현금성 자산에 대한 활용 방안, 주식 유동성 확대 등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청했다. 당시 태광산업은 현금성 자산을 신규 사업과 사업 구조 개편에 활용하겠다고 답변했다고 트러스톤 측은 전했다. 흥국생명 지원은 이 같은 기존 발언과 배치된다는 게 트러스톤의 주장이다. 태광산업의 2021년 기준 연결기준 배당성향은 0.46%로 국내 코스피 상장사 평균(20.68%)이나 태광산업이 속한 화학업종 평균(22.93%)보다 낮은 편이다. 트러스톤 측은 “성과는 대주주가 독식하고 위기 상황만 소수 주주와 공유하겠다는 발상”이라면서 “태광산업 이사회가 이러한 의사 결정을 승인할 경우 법적 절차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 주주로서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러스톤은 2013년 만도의 계열사인 한라건설 유상증자 참여를 반대하면서 증자대금 납입 금지 가처분 신청을 하는 등 당시로서는 강경하게 대응한 바 있다. 실제 유상증자를 막지는 못했지만 이번에도 물러설 뜻이 없다는 태세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운수창고업(2.53%↑)
증권 News봇 2022.12.09 15:20:269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53p(+0.70%) 상승한 2387.61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5.83%), 운수창고업(+2.53%), 서비스업(+2.33%)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97%), 섬유의복업(-0.97%), 화학업(-0.9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수창고업이 67:3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36:64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685억, 기관은 3,83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55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6.25% 오른 9,730원을 기록 중이고, 영진약품(003520)(+10.32%), 코스맥스(192820)(+10.0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C(011790)(-7.01%), 삼성SDI(006400)(-6.49%), 코스모신소재(005070)(-6.2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16개, 하락종목은 25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5.44%↑)
증권 News봇 2022.12.09 15:00:139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39p(+0.61%) 상승한 2385.47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5.44%), 운수창고업(+2.53%), 서비스업(+2.22%)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30%), 화학업(-1.08%), 섬유의복업(-0.9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70:3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이목재업은 37:63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782억, 기관은 3,27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10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4.46% 오른 9,580원을 기록 중이고, 코스맥스(192820)(+11.18%), 아모레G(002790)(+10.2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스모신소재(005070)(-6.96%), SKC(011790)(-6.35%), 삼성SDI(006400)(-6.2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98개, 하락종목은 2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퇴직연금계좌서 100% 투자 가능…애플 등 美 시총 상위 '톱5' 담아 [ETF줌인]
증권 증권일반 2022.12.09 14:40:33본격적인 연말정산 시즌에 접어들면서 ‘13월의 월급’을 위한 세테크(세금+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절세를 위한 대표적 방법은 연금 계좌인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에 가입해 납입금을 불입하는 것이다. 연금은 노후 대비를 위한 필수 요소이면서 세액공제의 수단이 되므로 전략적인 투자가 중요하다. 11월 말 상장한 ‘SOL 미국TOP5 채권혼합40 Solactive 상장지수펀드(ETF)’는 연금 투자자의 투자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됐다. 국내 ETF 중 유일하게 미국 주식 비중이 40%인 채권혼합형 ETF다. 퇴직연금 계좌에 100% 투자가 가능해 공격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특히 퇴직연금 계좌의 위험자산 한도인 70%를 주식형 ETF로 꽉 채우고도 추가로 주식을 담고 싶은 고객에게 유용한 상품이다. 나머지 30%를 SOL 미국TOP5 채권혼합40 Solactive로 채우면 주식 비중이 최대 82%까지 올라가게 된다. 이 상품은 미국 시장 시가총액 상위 5개 주식을 40%, 국내 채권을 60% 비중으로 투자한다. 미국 주식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아마존·테슬라에 동일 비중인 약 8%씩 투자한다. 국내 채권은 단기 통안채를 담는다. 주식은 미국의 시가총액 순위가 변경될 경우 정기 변경일 때 교체된다. 시대에 따른 시장 주도주와 대표 기업의 변화를 따라잡는 게 가능하다. 20년 이상 퇴직연금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투자자산이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면 안 되고 특정 종목이나 기업에 집중하기보다는 분산투자가 필수적이다. SOL 미국TOP5 채권혼합40 Solactive는 투자자산 구성도 퇴직연금 적합성을 고려했다. 미국의 대표 글로벌 기업 주식은 중장기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평균 듀레이션 0.3년의 통안채는 금리 변동에 따른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이자 수익도 안겨준다. 기초 지수(Solactive US TOP5 Balanced 40)의 위험 대비 성과를 살펴보면 지난 5년간 코스피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대비 우수했다. 위험 대비 성과 수치가 높을수록 기초자산의 변동성은 낮게 가져가면서도 높은 성과를 기록하는 게 가능하다. 신한자산운용 관계자는 “변동성이 높은 장세일수록 하방 경직성이 높은 SOL 미국TOP5 채권혼합40 Solactive의 장점이 부각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4.70%↑)
증권 News봇 2022.12.09 14:30:129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9.96p(+0.42%) 상승한 2381.04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4.70%), 운수창고업(+2.42%), 서비스업(+2.05%)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62%), 섬유의복업(-1.19%), 화학업(-1.1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77:23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34:66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70억, 기관은 2,93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51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6.97% 오른 9,790원을 기록 중이고, 코스맥스(192820)(+11.02%), 아모레G(002790)(+9.9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스모신소재(005070)(-7.30%), SKC(011790)(-7.11%), 포스코케미칼(003670)(-6.1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72개, 하락종목은 29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전기가스업(+4.52%↑)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43%↑)
증권 News봇 2022.12.09 14:01:21오후 2시 1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3개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기가스업(+4.52%), 운수창고업(+2.59%), 서비스업(+1.99%) 등이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비금속광물업(-3.15%), 섬유의복업(-1.70%), 화학업(-1.17%)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전기가스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7(매도):23(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전기가스업은 최근 7일 동안 -0.56%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5위), 동일 기간 동안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전기가스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한국전력이 +6.46%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경동도시가스(+5.65%), 인천도시가스(+3.16%)가 뒤를 받치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596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전기전자업과 서비스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4.35%↑)
증권 News봇 2022.12.09 14:00:289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12p(+0.47%) 상승한 2382.20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4.35%), 운수창고업(+2.59%), 서비스업(+2.03%)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9%), 섬유의복업(-1.72%), 화학업(-1.1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77:23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5:65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96억, 기관은 2,66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27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5.29% 오른 9,650원을 기록 중이고, 코스맥스(192820)(+10.87%), 남선알미우(008355)(+10.3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C(011790)(-6.92%), 코스모신소재(005070)(-6.79%), LG화학(051910)(-6.1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82개, 하락종목은 27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쌍끌이'에 2390선 '터치'
증권 국내증시 2022.12.09 13:41:41오전장에서 한때 약세 전환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세에 힘입어 오후 장에서 2390선을 터치했다. 코스닥 역시 강세를 이어가며 1%대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9일 오후 1시 37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11포인트(0.60%) 오른 2385.19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65포인트(0.49%) 상승한 2382.73에 출발했다. 장 중 매도세가 커지며 약세 전환해 2370선까지 내려앉았지만 이후 매수세에 탄력이 붙으면서 현재 2390선 회복을 꾸준히 시도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85억 원, 2514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금융투자가 2135억 원어치를, 연기금 등은 571억 원어치를 사들이는 모습이다. 한편 개인은 3270억 원 규모를 팔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은 2차전지 관련주를 제외한 전 종목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특히 전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강세에 힘입은 삼성전자(005930)(2.20%), SK하이닉스(000660)(2.79%) 등 반도체주가 큰 폭 상승하며 각각 ‘6만전자', ‘8만닉스’를 되찾았다. 나스닥 지수 상승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입은 NAVER(035420)(4.04%)와 카카오(035720)(4.14%) 역시 상승폭이 크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373220)(-3.95%), 삼성SDI(-5.34%), LG화학(051910)(-5.82%)은 여전히 낙폭을 키우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7.34포인트(1.03%) 뛴 719.86을 기록 중이다. 이날 코스닥은 전일 대비 4.72포인트(0.66%) 오른 717.24에 출발했다. 오전장에서 상승폭을 줄이며 약세 전환 위협을 받았지만 이후 마찬가지로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현재 1%대 상승률을 유지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매수 주체로 나선 것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다. 각각 27억 원, 162억 원을 사들이고 있는 한편 개인은 215억 원을 파는 모습이다. 코스닥 시총 상위권 역시 2차전지 관련주들을 제외한 모든 종목들이 강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내 콘텐츠 공급 소식에 호재로 작용한 스튜디오드래곤(253450)(9.28%) 주가가 큰 폭 올랐다. 이밖에 HLB(028300)(3.46%),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08%), 셀트리온제약(068760)(2.02%) 등 바이오주를 비롯해 카카오게임즈(293490)(2.03%), 펄어비스(263750)(3.57%) 등 게임주 역시 기술주 상승 흐름에 합류했다. 한편 에코프로비엠(247540)(-3.86%), 엘앤에프(066970)(-5.69%), 에코프로(086520)(-5.53%) 등은 하락폭이 크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운수창고업(2.73%↑)
증권 News봇 2022.12.09 13:30:129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51p(+0.70%) 상승한 2387.59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4.04%), 운수창고업(+2.73%), 서비스업(+2.33%)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84%), 섬유의복업(-1.52%), 화학업(-0.8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수창고업이 73:27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5:65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734억, 기관은 2,45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27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키다리스튜디오(020120)가 17.44% 오른 9,830원을 기록 중이고, 주연테크(044380)(+13.03%), 코스맥스(192820)(+11.1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C(011790)(-7.01%), 코스모신소재(005070)(-6.45%), 동부건설우(005965)(-5.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13개, 하락종목은 25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