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아파트 오르고, 빌라는 떨어지고…엇갈리는 전세가율
주택2025.02.0210:05:00
연초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진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전세사기 후폭풍이 거센 빌라 시장은 전세기피 현상 등으로 인해 전세가율 하락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로 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전면적으로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4월 50.8%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도 올해 1월 54.1%로 오르며 역시 2022년 11월 표본 개편 이후 가장 높았다.
집슐랭
송파구 문정시영, 최고 19층으로 리모델링 추진 [집슐랭]
정책·제도 2025.01.23 10:28:59
서울 송파구 문정시영아파트가 최고 19층으로 층수를 높여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23일 서울시는 전날 제1차 서울특별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송파구 문정동 145번지 외 1필지 문정시영아파트 지구단위계획 결정 안 자문 및 경관계획안에 대해 수정동의 및 원안가결했다고 밝혔다. 지하철 5호선 개롱역과 거여역 사이에 위치한 문정시영아파트는 1989년 준공 후 35년이 지났다. 리모델링 사업 추진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에
건축과 도시
'철옹성' 편견을 깨고…캠퍼스에 녹아든 데이터센터
분양 2024.02.08 07:00:00
데이터센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안 확보다. 보안을 위해 건물 외벽에 높은 담장을 세울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이유로 그동안 데이터센터 설계 방향은 ‘철옹성’을 만드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규모 건축물인 만큼 이에 걸맞은 부지도 필요해 도심 내에서 쉽게 만나기 어려운 존재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준공된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은 이 같은 고정관념을 깼다. 센터가 위치한 장소부터 파격적이다. 많은 사람이
  • 삼성물산, 8331억 규모 안양운동장 동측 재개발 수주
    주택 2024.12.23 09:02:19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경기 안양시 종합운동장 동측일원 재개발 공사를 수주했다고 23일 밝혔다. 안양 운동장 동측 재개발은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1047-20번지 일대 9만 1267m² 부지에 지상 35층, 14개 동, 1850가구와 업무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공사비는 8331억 원이다. 공사기간은 46개월로 오는 2028년 4월 착공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신규 단지명으로 ‘래미안 하이스티지(Highestige)’를 제안했다. 단지 외부는 수평적인 스카이브릿지와 수직 커튼월로 우뚝 솟은 관악산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높이 100m
  • 탄핵 정국에 얼어붙은 분양시장…청약 관심 ‘뚝’·가계약 후 이탈 급증
    주택 2024.12.23 07:00:00
    중도금·잔금 대출 규제로 열기가 식은 분양 시장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며 신규 아파트 분양 단지의 청약 관심도와 정당 계약률이 낮아지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는 오는 1·2월 예정됐던 분양 계획의 조정을 검토 중이다. 무주택자의 자가 매수 심리는 물론 다주택자의 투자 수요도 주춤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여부가 결정돼도 부동산 정책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관망세가 짙어질 전망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분양 시장에서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의 불확실성으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
  • 국토부, 외국인 위법의심거래 282건 적발
    정책·제도 2024.12.23 07:00:00
    국토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이상 거래를 기획 조사한 결과 위법 의심거래 282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이뤄진 외국인 주택, 토지, 오피스텔 이상거래 557건을 조사했더니 282건(50.6%)의 거래에서 위법 의심 행위 433건이 발견됐다. 적발 사례 중 해외에서 자금을 불법 반입한 사례가 77건으로 가장 많았다. 1만 달러가 넘는 현금을 직접 가지고 들어오면서 신고하지 않거나 외국환은행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불법 반입하는 소위 ‘환치기’ 사례다. 신고 의무가 없는 반입 한도는 하루 1만 달러다.
  • 정부는 내년 4.8만가구 입주라더니…일반 물량은 1만1000여 가구 불과
    정책·제도 2024.12.23 07:00:00
    정부가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을 4만 8000여 가구로 전망한 가운데 일반분양을 통한 입주물량은 전체의 4분의 1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입주물량 중 상당수가 조합원·임대 물량인 만큼 정부가 발표하는 수치가 공급물량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향후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중 일반분양을 통한 입주물량은 1만 1000여 가구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올 10월 내년 서울 입주 물량 4만 8184가구로 집계됐다
  • 경기도·세종시, 국토부 최우수 건축행정 평가 1위
    주택 2024.12.23 06:00:00
    국토교통부는 전국 24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난 6월부터 이달까지 건축행정 평가를 실시한 결과 경기도와 세종특별자치시가 각각 일반부문 1위를 차지했다고 22일 밝혔다. 국토부는 내실 있는 건축행정을 위해 1999년부터 전국 모든 지자체를 대상으로 건축행정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일반부문(광역·기초)과 특별부문으로 구분해 진행했다. 경기도는 건축정책 이행도와 지자체 자체 노력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9개 도 중 1위로 선정됐다. 세종시는 위반건축물 관리 등 유리관리 적정성 분야에서 높은 점수
  • "덮개공원 안돼"…반포 등 한강변 재건축 추진에 복병
    정책·제도 2024.12.22 20:48:58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이 서울 한강 변 주요 재건축 단지의 한강 관련 시설 조성에 반대하면서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22일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는 19일 한강유역환경청에 "시민의 풍요로운 여가 생활과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덮개공원 등 한강 접근 시설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적극 검토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1·2·4주구)는 신반포로와 반포한강지구를 연결하는 덮개공원 조성을 공공기여(기부채납)하는 조건으로 인허가를 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 5060 절반 넘는데…"제가요? 싫어요" 2030 기피 1순위 '이 직업' 뭐길래?
    부동산일반 2024.12.22 19:52:38
    건설업에 종사하는 20~30대 청년층 연령 비중이 크게 줄면서 청년층의 기피현상과 근로자 고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건설업 청년층 취업자는 13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3만7000명 줄어든 수치다. 청년층이 졸업 후 첫 일자리로 선택하는 분야에서도 건설업은 서비스업 등 10개 산업 분야 가운데 최하위에 머물렀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 건설기술인 100만9144명 중 20~30대는 15만8503명(15.7%)으로
  • "53억 아파트 누가 샀대?"…회삿돈 끌어온 부부 정체 알고보니
    부동산일반 2024.12.22 18:21:09
    #외국인 국적의 한 부부가 서울 투기과열지구 내 아파트를 53억 원에 사들였다. 남편 A씨는 본인이 대표인 법인에서 돈을 빌렸고, 부인 B씨는 남편 법인으로부터 차용한 자금을 일부 조달해 특수관계법인으로부터 전체 거래대금의 60%(31억 5000만원)를 차용했다. B씨는 부모에게 편법증여도 받은 것으로 의심돼 국토부는 해당 내용을 과세 당국에 통보할 예정이다.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수가 해마다 늘고 있는 가운데 이 중 일부는 해외자금을 불법 반입하거나 특수관계법인 대출 등을 통해 집을 산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부
  • 조합원·임대물량 제외하니…내년 서울 입주물량 1만1000여 가구 불과
    정책·제도 2024.12.22 14:35:15
    정부가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을 4만 8000여 가구로 전망한 가운데 일반분양을 통한 입주물량은 전체의 4분의 1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입주물량 중 상당수가 조합원·임대 물량인 만큼 정부가 발표하는 수치가 공급물량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향후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중 일반분양을 통한 입주물량은 1만 1000여 가구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올 10월 내년 서울 입주 물량 4만 8184가구로 집계됐다
  • [분양캘린더] 중랑구 '더샵퍼스트월드' 등 전국 6개 단지서 2705가구 공급
    분양 2024.12.22 14:23:47
    2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에는 전국 6개 단지에서 총 2705가구(일반분양 2356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포스코이앤씨는 서울시 중랑구 상봉동 83-1번지 일원의 상봉9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주상복합 아파트 '더샵퍼스트월드’를 분양한다. 아파트는 지하 8층~지상 최고 49층, 4개동, 총 999가구 중 전용면적 39~118㎡, 80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경의선, 경춘선, 수도권 7호선 상봉역 역세권 지역이며, GTX-B 노선이 예정되어 있어 교통호재를 갖춘 단지다. 면목초, 혜원여중&middo
  • 법인대출로 53억 아파트 매입…외국인 위법의심거래 282건 적발
    정책·제도 2024.12.22 13:47:37
    #외국인 국적의 한 부부는 서울 투기과열지구 내 아파트를 53억 원에 사들였다. 이 과정에서 남편은 본인이 대표인 법인에서 돈을 빌렸고, 부인 역시 남편 회사에서 자금 일부를 빌렸다. 아파트 매입가의 60%(31억 5000만 원)를 특수 관계 법인에서 빌린 돈으로 낸 데다 B씨는 부모에게 편법증여를 받은 것으로도 의심돼 국토부는 이들 부부를 특수관계인 차입금 과다 및 편법증여 의심으로 국세청에 통보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이상 거래를 기획 조사한 결과 위법 의심거래 282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6월부터
  • 하남교산, 소형 주택형 늘려 3660가구 추가 공급
    분양 2024.12.22 13:46:05
    정부가 3기 신도시 하남교산에 중대형 주택형 비중을 줄이고 소형 비중(전용 60㎡ 이하)을 늘리는 방식으로 3360가구를 추가 공급한다. 하남교산 외에도 정부가 공급 물량을 늘리고 있는 고양창릉, 남양주왕숙 등 3기 신도시에서 전반적으로 소형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최근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지구계획 변경안(3차)’ 승인을 고시했다. 변경안에는 하남교산지구 총 631만㎡ 중 주택용지 비중을 기존 23.3%에서 25.3%로 늘리는 내용이 담겼다. 대신 공공시설용지 비중을 줄였다. 업무시설(1만㎡
  • 탄핵 정국에 청약 관심 ‘뚝’·가계약 후 이탈 급증…얼어붙은 분양시장
    주택 2024.12.22 13:38:07
    중도금·잔금 대출 규제로 열기가 식은 분양 시장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며 신규 아파트 분양 단지의 청약 관심도와 정당 계약률이 낮아지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는 오는 1·2월 예정됐던 분양 계획의 조정을 검토 중이다. 무주택자의 자가 매수 심리는 물론 다주택자의 투자 수요도 주춤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여부가 결정돼도 부동산 정책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관망세가 짙어질 전망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분양 시장에서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의 불확실성으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
  • 달러 몰래 들여와 오피스텔 매입…외국인 이상거래 282건 적발
    주택 2024.12.22 11:00:00
    # 외국인 A씨와 B씨 부부는 투기과열지구 내 초고가 아파트를 53억 원에 공동 매수했다. 이들은 A가 대표인 법인 등으로부터 전체 거래대금의 총 60%를 빌린 것으로 나타나 특수관계인 차입금 과다가 의심된다. 아울러 B씨는 부모에게 편법증여를 받은 것으로 의심돼 국세청 조사도 받게 됐다. # 외국인 C씨는 부산에 있는 오피스텔 분양권을 4억 7000만 원에 사들였다. C씨는 계약금 및 중도금을 현금으로 지급했다고 진술했으나, 현금인출 내역 등 증빙자료가 없어 해외자금 불법반입이 의심된다.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주택과 오피스텔, 토
  • 공간정보산업 매출액 0.6% 상승했지만…증가폭은 2년 연속 감소
    주택 2024.12.22 11:00:00
    지난해 국내 공간정보산업 매출액이 전년보다 0.6% 상승했다. 다만 매출 상승폭은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 기준으로 조사한 ‘2024년 공간정보산업 통계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공간정보산업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공간적 인지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산·관리·가공·유통하고 다른 산업과 융·복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공간정보 사업체 수는 5955개로 전년(5871개) 대비 1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