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금감원 '딥시크' 차단…금융권 전방위 확산
금융정책2025.02.0612:37:07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의 사용을 차단했다. 과도한 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산하 기관에도 딥시크 사용과 관련한 보안 유의사항을 전파하면서 금융권 전반에서 차단 움직임이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와 금감원은 이날부터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다. 최근 국정원과 행정안전부가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요청을 내렸는데, 현재로서는 정보 처리 과정이 정확하게 검증되지 않은 만큼 일
도와줘요, 상속증여
자녀 대신 증여세 내줬다간…세폭탄 맞습니다 [도와줘요, 상속증여]
정책
2022.09.24
14:10:24
한번 결정된 세금은 통상 납부를 해야 납세의무가 끝납니다. 간혹 부과취소나 충당 등으로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지만 극히 드물죠. 그런데 때로는 결정된 세금을 다 납부했는데도 세금문제가 재차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여세나 상속세를 다른 사람이 대납했을 경우가 바로 그런데요. 증여세와 상속세를 대납했을때 어떤 세무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증여세 대납 사례 이주자씨는 자녀에게 10억 원 상당의
뒷북경제
'국정 최고 책임자' 최상목 리더십 주목…점심·저녁 도시락 해결[뒷북경제]
경제동향
2025.02.02
05:30:00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12월 27일 헌정 사상 초유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을 맡은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최 대행이 이끄는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는 1인 다역(대통령, 국무총리, 경제부총리)을 맡으며 안정적인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다만 정책 추진력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공존합니다. 우선 최상목 권한대행은 경제 관료 출신으로 경제·금융 전문가로서의 경험
-
경제동향 2025.01.31 05:30:00지난해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수가 165명으로 잠정 집계돼 세월호사고가 있었던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년 연속 감소하면서 두 자릿수에 그치다가 크게 반등한 것이라 정부가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수가 165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75.5% 증가한 것이다. 연도별 사망·실종자를 보면 △2014년 467명 △2015년 100명 △2016년 118명 △2017년 145명 △2018년 10
-
은행 2025.01.31 05:30:00대만 최대 금융그룹인 푸본파이낸셜홀딩스의 계열사인 푸본은행이 사무소 설립을 통해 한국 은행업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푸본은행이 지난해 12월 제출한 사무소 개설 신청서를 이달 초 공식 수리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사무소 개설 신청서는 접수 후 30일 이내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푸본은행의 신청서는 지난해 12월 9일 접수돼 이달 2일 수리 완료한 건”이라고 말했다. 푸본파이낸셜홀딩스(푸본금융)는 은행·보험·증권 등 여러 계열사를 보유한 대만
-
경제·금융일반 2025.01.31 00:05:00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 미국의 ‘AI 패권’을 위협하며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설립한 지 2년도 안 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는 최근 미국 빅테크의 10분의 1에 불과한 저비용으로 미국 오픈AI의 최신 모델과 비슷한 성과를 내는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 R1’을 출시했다.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라는 위기에도 엔비디아의 고사양 AI 칩 없이 오픈소스 기반의 AI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압도적 기술 우위를 자랑해온 미국이 중국의 역공에 허를 찔리자 일각에서는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라는 평마저 나온
-
경제동향 2025.01.31 00:05:00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국 기업을 콕 찍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지 않으면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29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우리의 동맹들, 한국의 가전과 일본의 철강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며 “이제는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관세가 기업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결정한 반도체 보조금 지급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리스용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정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22:59:20지난해 11월 중국이 한국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한 이후, 중국 여행을 떠나는 한국인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하나투어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중국으로 향한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무비자 소식이 발표된 직후인 지난해 11월 1∼15일 중국 상품 예약자는 직전 보름간보다 30% 늘었다. 모두투어는 지난해 11월과 12월 중국 송출객 수가 전년 같은 달보다 각각 62%, 75% 증가했다. 전체 여행지 중 중국 여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월 13.8%, 12월 11.9%로 각각 나타났다.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20:46:20국토교통부가 김해공항 에어부산 화재 사고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진행하기 전 위험관리평가부터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사고기에 여전히 항공유가 3만 6000파운드 가까이 실려 있어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위험 평가 이후 이상이 없는 경우 동체 하부에 실려 있는 위탁 수화물은 승객에게 반환할 계획이다.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사고기에는 연료 약 3만 5900파운드와 승객용 비상산소용기 등 위험물이 실려있는 상태”라며 “현장조사 중 폭발하는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화물칸 손상여부 점검, 항공기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19:38:36수입 상위 1% 유튜버의 평균 연봉이 1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보장된 성공을 위해 1인 창작자로서 과세 당국에 수입을 신고한 이들도 4년 전 대비 약 19배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 2만4797명의 2023년 귀속 총수입은 1조7816억 원으로 파악됐다. 상위 1%의 총수입은 3271억 원으로 전체의 18.3%를 차지했다. 수입 상위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18:36:07한국이 한국·중국·일본 3개국 중 최근 3년간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 허가 실적에서 가장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신약 개발의 현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연구개발(R&D) 비용에서도 중국에 크게 밀리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제약·바이오 업계의 R&D 확대를 위해 각사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30일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3년간(2022~2024년) FDA 신약 허가 현황을 분석한 결
-
은행 2025.01.30 18:35:48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중은행들이 건설 업종에 대한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등 건설 경기 침체 조짐이 현실화하는 가운데 부실 건설사들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달 31일부터 건설 업체 신용평가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10억 원 초과 신규 대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예적금 담보대출, 100% 보증서 담보대출,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을 비롯한 결제성 자금 등은 예외다. 신용등급이 다소 취약한 차주의
-
경제동향 2025.01.30 18:30:00“성과급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도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니 신기할 뿐입니다.” 최근 성과급을 두고 벌어진 SK하이닉스의 노사 갈등을 두고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같이 말했다. SK하이닉스는 24일 임직원들에게 기본급 대비 1000%의 초과이익분배금(PS)과 500% 특별성과급을 합한 성과급을 지급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그러나 노조는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강력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해 회사가 거둔 영업이익에 비하면 성과급 규모가 미진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내에서 쟁의행위에 나선 데 더해 최근에는 최태원 S
-
보험 2025.01.30 18:10:32동양생명이 2024년 한 해 동안 임직원과 설계사(FC) 1564명이 총 4631시간의 봉사 활동에 참여하며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나눔 경영을 펼쳤다고 30일 밝혔다. 동양생명은 책임 있는 기업 시민으로 거듭나고자 자사 대표 브랜드인 ‘수호천사’의 이름을 딴 사내 봉사단 ‘수호천사봉사단’을 1999년 발족시켰다. 2016년부터 2024년까지 공식 집계된 활동에만 총 1만 7078명의 임직원과 FC들이 참여해 5만 9656시간의 봉사 활동을 펼쳤는데 이는 연평균 약 6600시간이다. 지난해 동양생명은 다양한 환경보호 활동을 전개했다.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17:51:54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해 수주한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사업이 5월께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사업이 진행되는 60개월 동안 한국 기업에 쏟아지는 일감은 총 1조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30일 한수원에 따르면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사업의 사전 작업 격인 인프라 건설 작업이 5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체르나보다 원전 30년 추가 운영을 위한 핵심 공정인 압력관 교체는 인프라 건설이 막바지에 돌입한 2027년 10월에 시작해 2030년 6월께 마무리된다. 시설 개
-
경제동향 2025.01.30 17:51:07금융위원장을 지낸 최종구 국제금융협력대사가 다음 달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한국 경제 투자설명회(IR)에 나선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최 대사가 다음 달 11~14일 기재부와 금융위원회·한국투자공사 관계자와 함께 홍콩과 싱가포르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최 대사는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 담당자와 면담하고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IB) 임원을 대상으로 IR도 개최한다. 최 대사는 3월에는 뉴욕과 런던을 찾을 예정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대외 신인도에 흔들림이
-
경제동향 2025.01.30 17:50:32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했다. 최근 JP모건이 성장률 예측치를 1.2%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글로벌 기관들의 전망이 줄줄이 내려가고 있다. 30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23일 발표한 보고서 ‘최소한의 성장(Growing at Bare Minimum)’이라는 이름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의 성장률 예상치에 대해 “수출이 하향 사이클에 접어들고 있고 침체된 심리와 모든 부문의 활동 둔화로 소비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
-
경제·금융일반 2025.01.30 17:49:55“한국도 많은 사람이 ‘비트코인 국가 보유를 검토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게 될 시점이 올 겁니다. 각국에서 국가 단위의 포모(FOMO·소외 공포)가 시작될 테니까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의 김민승(사진) 리서치센터장은 3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을 결정하면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연기금들도 확보 경쟁을 벌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4일 만인 23일(현지 시간) 가상자산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https://img.sedaily.com/Html/common/footer_logo.png)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