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수익률 年 66%…美 대표 퀀트 펀드가 선택한 韓 금융주는
은행2025.02.2206:00:00
데이터와 수학적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금융 상품을 매매하는 퀀트 투자의 ‘전설’ 르네상스테크놀로지가 신한금융지주 보유량을 대폭 늘렸다. 17일 르네상스테크놀로지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신한금융 주식을 15만 2300주 사들이면서 보유량을 크게 늘렸다. 직전 분기인 3분기 신한금융 주식 2만 5100주를 신규 편입한 데 이어 두 분기 연속으로 매수를 이어갔다. 반면 회사는 지난해 4분기 보유하고 있던 KB금융(105560) 주식 5만 800주를 전량 매각했다. 르네상스테크놀로지는 2023년
뒷북경제
밥상 위협하는 '기후플레이션' 해법…스마트팜에 가다[뒷북경제]
경제동향 2025.02.16 05:30:00
진눈깨비로 흐린 날씨가 온종일 이어졌던 이달 12일. 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스마트팜인 ‘옥토팜’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함께 찾았습니다. 농장 안을 가득 채운 식물 재배등이 먼 곳에서도 눈에 띌 만큼 밝게 빛나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와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스마트팜 내부에 들어서자 아직 익지 않은 초록색 토마토가 주먹만 한 크기로 주렁주렁 달린 묘목들이 한눈에 들어왔습니다. 송 장관이 옥토팜을 찾은 것은
PICK코노미
"태양광 확대,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설비 확충도 난제[Pick코노미]
경제동향 2025.02.20 09:13:43
국가 전력 산업의 뼈대가 되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19일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으면서 국내 신규 원전 건설과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추가 확충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됐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전기본 통과를 환영하면서도 급속한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1차 전기본(2024~20238년)을 보고했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 현대카드, PLCC-GPCC 쌍끌이… 데이터로 시장 리더십 강화
    카드 2024.11.22 20:33:00
    현대카드의 범용신용카드(GPCC) 사업과 상업자전용신용카드(PLCC) 사업이 동반 성장하고 있다. 데이터 사이언스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해 새로운 시장 수요를 지속적으로 발굴한 덕분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카드의 GPCC 회원 수는 2021년 672만 명, 2022년 679만 명, 2023년 691만 명, 올해 7월 말 717만 명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늘었다. 아울러 PLCC 회원 수 역시 같은 기간 377만 명, 456만 명, 515만 명, 520만 명으로 매년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현
  • 올해 김치 수출 3.1% ↑…송미령 "김치 산업 적극 지원"
    경제동향 2024.11.22 18:31:51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2일 “김치 산업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날 서울 성북구 삼청각에서 열린 ‘제5회 김치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김치 산업은 최근 국내외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과 변화를 보이고 있다”며 “김치를 통한 우리 나눔과 공동체 문화를 국내외에 알리겠다”고 언급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까지 김치 수출액은 1억 3466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 3057만 달러)보다 3.1% 증가했다. 올 들어 10월까지 수출량(3만 8659.4톤) 역시 지난해 같
  • 추경론 진화나선 대통령실…"논의도 검토도 없었다"
    경제동향 2024.11.22 18:11:48
    대통령실이 22일 “현재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는 논의한 바도, 검토된 바도,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가 추경론에 대해 미묘한 온도차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오자 반나절 만에 메시지 톤을 낮춘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서울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추경 편성 가능성에 대해 “내년 예산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이날 오전 대통령실이 내놓은 입장과는 온도차가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추경을 포함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윤석열
  • 인뱅,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뚝…취약계층 ’포용금융’ 무색
    은행 2024.11.22 17:58:41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공급을 줄이고 있다. 인터넷은행의 최대 설립 목적 중 하나가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중·저신용자들에 대한 ‘포용 금융’인 만큼 본래 설립 목적을 외면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저신용자들이 고금리 대출이나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은행 3사가 올 들어 새로 공급한 분기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1분기 1조 4812억
  • "돈 빌릴 곳이 없어요"…'급전 창구' 약관대출 4년간 8조 불어나
    금융정책 2024.11.22 17:50:59
    서민들의 ‘급전 창구’로 불리는 보험계약대출(약관대출) 잔액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간 8조 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랜 기간 이어진 고금리·고물가 현상으로 더 이상 돈 빌릴 곳 없는 서민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에 따라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9월 말 보험회사들의 대출채권 잔액은 266조 9000억 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5000억 원 늘었다. 기업대출 잔액은 132조 400
  • 배달상생協 '반쪽 합의'에 반발…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경제·금융일반 2024.11.22 17:50:08
    치킨 프렌차이즈 업계가 이중가격제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내년 초부터 배달 앱 상생협의체 상생안이 적용될 경우 배달 비중이 높은 치킨 업체의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상생안은 매출액 상위 35% 업체에 대해 수수료율 7.8%와 함께 배달비 2400~3400원(500원 인상) 적용을 결정했는데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상당수가 이 구간에 포함돼 있다. 중개수수료를 낮추는 대신 배달비를 올린 ‘반쪽짜리 상생안’에 대한 반발은 치킨 임점 업주를 시작으로 다른 업종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소비자들 부담만 커지는 셈이다. 22일 업계에 따르
  • 비트코인 10만弗 돌파 초읽기…국내 증시는 예탁금 10조 급감
    보험 2024.11.22 17:43:10
    ‘트럼프 효과’에 올라탄 가상자산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는 데다 위험 헤지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금보다 낫다는 인식까지 퍼지면서 파죽지세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국내 시장에서도 증시 투자 대기 자금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대거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2일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은 개당 9만 9000달러 선에 거래됐다. 24시간 전보다는 1.7%, 7일 전 대비로는 12.5% 오른 수준으로 10만 달러 돌파 직전
  • 전력망법 상정 또 보류…내달에나 논의 시작할듯
    경제동향 2024.11.22 17:43:00
    전력망 확충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에너지 관련 주요 법안 상정이 또다시 불발됐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인공지능(AI) 산업 육성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여야의 극한 대립으로 민생 법안이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국회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국회 산자위는 전날 정기국회 제1차 법안소위에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해상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 등 주요 민생 법안 상정을 보류했다. 이들 법안은 산업 환경의 변화와 에
  • 野, 양곡법 상임위 단독 통과…정부 "거부권 행사 건의”
    경제동향 2024.11.22 17:41:38
    국가에 심각한 재정 손실을 불러올 수 있는 양곡관리법 등 농업 관련 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두 차례 폐기됐던 법안 등이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야당 단독으로 처리된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22일 국회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21일 야당 단독으로 전체회의를 열고 밤 11시 50분께 양곡관리법,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 개정안 등 4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날 오전 법
  • [단독]배달치킨, 내년부터 '최소' 2만 5000원?…프랜차이즈協, 이중가격제 추진
    경제·금융일반 2024.11.22 17:35:17
    이르면 내년 1월부터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가 배달과 매장 판매 가격을 달리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가격 이원화가 이뤄질 경우 2만 5000원보다 싼 배달 치킨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2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프랜차이즈협회 측은 내년 1월 치킨부터 이중가격제를 시행하기로 내부 의사를 모은 것으로 확인됐다. 프랜차이즈협회 고위 관계자는 “일단 치킨부터 먼저 실시하려고 한다”며 “상생협의체에서 우리가 요구했던 내용들이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중가격제를 할 수밖에
  • '추경 엇박자' 논란 커지자 10시간만에 말 바꾼 용산
    경제·금융일반 2024.11.22 17:33:28
    대통령실이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가 이를 취소하는 일이 벌이지면서 정부 내 정책 엇박자가 다시 한번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경제정책은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한 만큼 창구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기획재정부는 22일 “현재 2025년 예산안은 국회에서 심사 중이며 내년 추경 예산 편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내용의 자료를 배포했다. 이날 대통령실은 고위 관계자의 발언으로 “내년 초 추경으로 시기가 정해진 바 없지만 추경을 포함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 "첨단산업 '핀셋 재정'이 퍼펙트스톰 해법"[이슈&워치]
    정책 2024.11.22 17:33:17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양극화 타개로 새로운 중산층 시대를 열겠다”며 “양극화의 기본적·구조적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진단해달라”고 밝혔다. 정부는 양극화 극복을 위해 긴축에서 확장재정으로의 전환을 준비 중이다. 당정은 “현시점에서 추가경정예산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내수 경기 및 민생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내년도 예산안에 맞춤형 예산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매출 신장 △중소·벤처기업 투자 여력 보강 △지역 사회간접자본(SOC) △민간소비 촉진 등
  • 석화·철강 휘청, 반도체는 불안…"보조금·전기료 타깃지원을"
    경제동향 2024.11.22 17:32:50
    대만 정부가 최근 누적 적자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국영 전력 기업 대만전력공사(TPC)에 보조금 1000억 대만달러(약 4조 3000억 원)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최근 2~3년 동안 국제에너지 가격이 급등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탓에 전기요금을 충분히 올리지 못했고 TPC의 누적 적자가 지난해 말 기준 3826억 대만달러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대만 정부의 보조금이 TPC의 재정 악화를 막고 TSMC 같은 핵심 업체에 간접적인 지원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내용을 더 들여다봐야 하지만 최근 산
  • 자사주소각·중간배당도입…7개 LG그룹사 주주환원책 일제히 내놔
    재테크 2024.11.22 17:28:24
    22일 그룹 지주사인 ㈜LG(003550)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 7곳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일제히 발표했다. LG그룹이 자사주 소각부터 배당 확대, 실적 개선 등 다양한 주주 환원책을 내놓으면서 연말 다른 대기업으로 밸류업 웨이브가 퍼져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먼저 ㈜LG와 LG생활건강(051900)은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 환원을 추진한다. ㈜LG는 2026년까지 총 5000억 원 상당의 자사주를, LG생활건강은 2027년까지 자사주 3014억 원어치를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여기에 ㈜LG는 배당성향을 기존 50%에
  • 국제원자력기구 "韓 원자력 안전 수준 높아…책임자 법령화해야"
    경제·금융일반 2024.11.22 17:07:54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한국의 원자력 안전이 ‘높은 수준’이라면서도 분산된 안전 기준을 한데 모으라고 권고했다. 또 안전 책임 소재를 법에 명시하라고 권고했다. IAEA 통합규제검토서비스(IRRS) 검토단은 22일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11일부터 이날까지 한국 원자력 안전규제시스템에 대해 실시한 IRRS 결과를 발표했다. IRRS는 IAEA의 국제 안전 기준으로 회원국의 규제 체계 전반을 점검한다. 한국이 IRRS를 받는 것은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다. IAEA는 한국의 규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