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D·R·I·F·T' 덫에 갇힌 한국…이대론 'AI 패권시대' 구경꾼 될판
IT2025.02.0518:00:22
정보기술(IT) 강국을 자처하던 한국이 인공지능(AI) 분야의 기술·인재 등 각종 핵심 경쟁 지표에서 한계를 노출하며 휘청이고 있다. ‘과거의 영광’에 취해 신산업 진흥에 더디게 대응했고 핵심 인력 확보 경쟁에서도 밀려나면서 AI 선두 추격의 길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AI 업계에서는 한국이 미국·중국 등 선진국과의 간격을 좁히는 데 실패한 핵심 요인으로 ‘DRIFT’를 지목한다. 데이터(Data), 규제(Regulation), 투자(Investment), 생태계 단절(Fragmentation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무죄' 이재용이 풀어야 할 삼성 반도체의 문제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기업 2025.02.05 07:40:00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이 10년 간 발목을 묶고 있던 사법 족쇄를 풀었습니다.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 합병 및 불법 승계와 관련한 항소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받으면서죠. 이 회장의 다음 스텝은 뭘까. 반도체 업계의 시각으로 봤을 때 그가 당장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많습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10나노급 6세대(1c) D램과 레거시 제품 감산, 파운드리 등 분야 별로 과제가 산적해 있는데요. 최근 업계에서 취재된
Biz 플러스
이제는 모터쇼에서 굴착기도 본다…HD현대, 최첨단 제품 공개 [biz-플러스]
산업일반 2025.02.05 07:00:00
HD현대(267250)가 국내 최대 모터쇼에 참가해 도로, 교통 시설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최첨단 굴착기 신모델을 공개한다. 올해 회복이 기대되는 글로벌 건설장비 시장에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굴착기를 선보이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HD현대의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올해 4월 4일부터 13일까지 열흘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건설
  • 한빛 6호기 방사선감시 안거친 공기 배출…원안위 조사
    IT 2024.12.27 20:20:19
    한빛 6호기 원자력발전소에서 실내 공기가 방사선 감시기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배출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7일 오후 2시 20분께 한빛 6호기 격납건물에서 내부 공기가 배기구에 설치된 방사선 감시기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원전 내부 공기를 배출 시 삼중수소 등 핵종 농도 등 위험성을 분석해야 하는데 이 절차를 누락했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수력원자력은 수동시료 방사능 분석 결과 실제 배출량이 삼중수소 기준 기준치 미만으로 확인되는 등 방사선 관련 특이사항은 없다고 보고했다. 해당
  • 정용진 회장은 외교관이 아니다 [동십자각]
    생활 2024.12.27 18:58:4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을 만나고 귀국하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을 취재하기 위해 22일 저녁 6시께 기자 30여 명과 카메라 10여 대가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 몰렸다. 정 회장에게 어떤 질문을 할지를 놓고 기자들 간 갑론을박 끝에 10여 개가 추려졌지만 정 회장은 대부분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정 회장은 트럼프 당선인과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했지만 곧 미국의 대통령이 될 인물과 오간 말을 민간인이 섣불리 옮길 수는 없을 것이다. 한 기자가 ‘그런 세세한 얘기 말고 트럼프 측 인사들이 한국에 관
  • "신세계-알리 동맹 가장 큰 수혜"…CJ대한통운 5% 급등
    기업 2024.12.27 17:57:46
    신세계그룹과 중국 알리바바그룹이 국내 e커머스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작법인(JV)을 세운다는 소식에 CJ대한통운(000120) 주가가 뛰었다. 두 기업을 고객사로 둔 CJ대한통운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 영향이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CJ대한통운은 전일 대비 5.54%(4500원) 오른 8만 57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6.53% 강세로 시작한 주가는 한때 9만 1000원까지 뛰기도 했다. CJ대한통운 주가가 장중 9만 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8일 이후 처음이다.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그룹의 협력에 따
  • "유튜브로 9억 벌어 남편 빚 다 갚았다"…매달 10억 버는 유튜버 '수두룩'
    IT 2024.12.27 17:43:26
    디지털크리에이터 산업이 고수익 신화를 쓰며 새로운 수익 창출의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매출이 5조원을 돌파했다. "유튜브로 남편 빚 9억 원을 갚았다" 한 인기 크리에이터의 이 같은 발언이 화제가 된 가운데 상위 크리에이터들의 수입이 수십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0만 구독자를 보유한 먹방 크리에이터 쯔양의 월 수입은 10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실시한 '202
  • 통상임금 확대 판결에…대한상의 "기업 임금체계 개편 불가피"
    기업 2024.12.27 17:42:18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 수당, 퇴직금 등의 기준인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되면서 기업들의 임금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법무법인 세종과 공동으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대응방안 웨비나'를 열었다. 앞서 대법원은 지난 19일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근로자가 소정 근로를 온전하게 제공하면 그 대가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은 재직 여부, 근로일수와 관계 없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앞서 대법원 전
  • 정의선 회장 '소통 행보'…임직원 앞에서 신년사
    기업 2024.12.27 17:37:09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3년 연속 임직원 앞에서 신년 경영 계획을 밝힌다. 27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은 내년 1월 3일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신년회를 열고 신년사를 직접 발표한다. 정 회장은 임직원들에게 ‘창의적이고 담대한 사고로 차별화된 고객 가치 창출’을 주제로 새해 경영 방침을 설명한다. 정 회장은 이번 신년회에서 임직원들에게 혁신 의지와 도전 정신을 북돋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로 무장해 경쟁사들보다 앞서 나가야 한다는 주문이다. 실제로 완성
  • '신세계·알리바바 동맹' 4가지 난제…①알리바바 출자규모 안갯속, 기업가치 산정부터 험로
    기업 2024.12.27 17:32:30
    신세계(004170)그룹과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이 전격 동맹을 선언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강조하고 있지만 업계와 소비자들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특히 협업 대상인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법인, 그리고 합작법인의 기업가치 산정에 대한 적정성이나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구체적인 혜택 등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으면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기업 가치 평가 어떻게 하나 신세계와 알리바바의 협업은 내년 합작법인 ‘그랜드오푸스홀딩(가칭)’을 설립해 절반씩 출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세계는 해당 회사에 보유한 G마켓 지분 80%를 현물출자할
  • 홈플러스도 '희망퇴직'…부울경 점포 직원 대상
    기업 2024.12.27 17:30:29
    홈플러스가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고 27일 밝혔다. 경기 둔화로 인해 이마트가 사상 첫 희망퇴직을 받았고 이어 롯데마트도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마트 업계의 구조조정이 이어지고 있다. 홈플러스는 27일 부산·울산·경남지역 점포 소속 10년 이상 근속 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희망퇴직자는 법정 퇴직금 외에 최대 월평균 급여의 18~20개월치를 위로금으로 받는다. 홈플러스는 “이번 희망퇴직은 일부 지역의 조직 체질 개선을 위한
  • 경쟁자 사냥하는 포식자…아마존 제국의 ‘1등 전략’[북스&]
    IT 2024.12.27 17:22:58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이 미 전역을 강타해 주마다 연이어 봉쇄령이 떨어지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조차 다른 곳에서 생필품을 구하지 못해 아마존에 의존해야 했다. 2020년 4월 백악관은 연방재난관리청(FEMA)에 아마존에서 1300만 달러에 달하는 체온계를 구매하라는 지출 명령을 내렸다. 밖에서 쇼핑을 하는 사람들이 사라지면서 반 세기 넘게 오프라인 소매 분야의 공룡이었던 거목들이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백화점 체인 니먼 마커스, JC페니가 무너지고 메이시스는 크게 위축됐다. 이들이 무너지는 데 직접적인 원인은 팬데믹이
  • 기업공시[12월 27일]
    기업 2024.12.27 16:51:00
    <코스피 공시> ▲현대로템(064350)=현대제철과 1264억 원 규모 LNG 자가발전사업 계약 ▲한화시스템(272210)=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822억 원 규모 이집트 K9/K11 자동사격통제장치, C2장치 물품 구매 계약 ▲CJ씨푸드=CJ제일제당과 1511억 원 규모 상품거래 계약 ▲KT=케이티클라우드에 223억 원 규모 기계장치, 소프트웨어 등 유무형자산 양도 결정 ▲HD현대마린엔진=중국 선사(Taizhou Maple Leaf Shipbuilding)와 126억 원 규모 선박엔진 공급 계약 <코스닥 공시> ▲엑스페릭스(31777
  • “비싼 검사 받으면 안심?” 연말에 놓치기 쉬운 건강…전문가 조언은
    IT 2024.12.27 16:05:00
    “전신에 생길 수 있는 모든 암을 완벽하게 잡아낼 수 있는 검사는 없나요?” “기본 검진에서 어떤 항목을 추가할지 고민돼요. ” 건강검진을 받으러 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다. 조용균(사진) 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부원장은 2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만인을 만족시키는 정답은 없다”고 잘라말했다. 몸에 생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악화를 막는 것이 검진의 일차적인 목적이지만 몇가지 검사만으로 모든 질병을 진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검사를 많이 받
  • 숨은 병 찾는 건 기본…검진으로 ‘건강 나이’ 되돌린다[메디컬 인사이드]
    IT 2024.12.27 16:00:00
    “뇌 자기공명영상(MRI)를 포함한 뇌정밀검사 결과 이상 소견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두통 증상이 잦고 기간도 오래됐으니 정기적인 신경과 진료를 권해드립니다.” “직접 설명을 들으니 한결 마음이 놓이네요. 한나절을 들여 검사를 받아도 그 때 뿐이지, 우편으로 결과지를 받아보면 잘 와닿지 않더라고요. ” “진표를 보니 외식, 음주 횟수가 많은 편이고 당뇨병 가족력도 있으신데 운동을 전혀 안 하시더라고요. 연속혈당측정기(CGM·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활용한 모니터링 검사를 받아보
  • "AI 스마트 기능 강화"…코웨이 ‘룰루 더블케어 비데2’ 출시
    중기·벤처 2024.12.27 15:56:47
    코웨이(021240)가 풍부한 버블 세척과 디스플레이 리모컨으로 한 단계 진화된 ‘룰루 더블케어 비데2’와 ‘룰루 더블케어 플러스 비데2’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코웨이 룰루 더블케어 비데 시리즈는 2021년 출시 이후 뛰어난 위생 관리 용이성과 세정력으로 프리미엄 욕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코웨이 대표 모델이다. 신제품 더블케어 비데2와 더블케어 플러스 비데2는 기존 제품 대비 풍성해진 버블 세척으로 위생을 강화하고, 사용자 맞춤형 세정 모드와 터치식 디스플레이 리모컨으로 편의성을 높였다. 룰루 더블케어 비데2는 전기분해 살
  • HBM 공세 높이는 마이크론 "내년 월 6만장 생산"
    산업일반 2024.12.27 15:48:39
    마이크론이 내년 말까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량을 현재 월 2만 장보다 3배 늘어난 월 6만 장으로 확대한다. 마이크론은 그동안 캐파(생산능력) 한계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밀려 업계 3위에 머물렀지만 최첨단 메모리를 중심으로 투자를 늘려 경쟁자를 따라잡는다는 복안이다. 인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반도체 인재들을 향한 공격적인 러브콜도 보내고 있다. 27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대만 타이중에 500명이 근무할 수 있는 사무용 업무 공간을 열었다. 마이크론은 8월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사 AUO로부터 타이
  • 대기업 알뜰폰 '점유율 규제' 가속…"과점 되레 강화" 우려도
    IT 2024.12.27 15:48:10
    이동통신 3사와 은행 등 대기업 계열사의 알뜰폰(MVNO) 시장점유율을 60%로 제한하는 규제 마련에 속도가 붙었다. 알뜰폰 생태계를 활성화해 단말기유통법 폐지와 함께 국내 이동통신 시장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다만 실효성과 부작용을 두고 정치권과 업계 내 우려도 거세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는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알뜰폰 시장에서 대기업의 시장점유율을 합산 60%로 제한한다. 이동통신 3사 계열사 5곳과 KB국민은행(리브모바일), 에스원 등이 규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