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확진 문자가 왔지만 어떤 약을 먹어야 하는지,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는지 아무런 안내도 없었습니다. 혼자 인터넷 검색하고 병원들에 연락했습니다. 그야말로 각자도생 방역이네요.”
코로나19 확진자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눠 치료하는 새로운 재택치료 체계가 시행된 10일 ‘셀프 치료’를 해야 하는 일반관리군은 물론 이들을 진료하는 병원들도 일대 혼란을 빚었다. 1일 2회 모니터링을 받는 집중관리군의 기준이 전날 밤에야 확정될 정도로 정부의 방역 정책이 오락가락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반관리군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의원 명단도 이날 오전에야 뒤늦게 공개됐다. 정부는 “평소 다니던 동네 의원과 상담하라”고 했지만 동네 병·의원들조차 수시로 바뀌는 지침을 따라가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곳들이 많았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만 4122명 늘어 또다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재택치료 환자 수는 17만 4177명으로 지난 1주일간 하루 평균 9900명씩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는 이날부터 60세 이상과 50대 기저질환자·면역저하자 등 집중관리군에만 건강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면서 필요하면 비대면·대면 진료를 받도록 하는 재택치료 체계로 전환했다. 진료는 1일 1회 권장한다. 다만 진찰료에 대한 본인 부담금은 권장 횟수를 초과해도 없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자가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는 동네 병·의원은 호흡기 클리닉 90곳을 포함해 전국에서 1900곳이다. 24시간 기초 의료 상담을 제공하는 재택치료의료상담센터는 145곳이다. 또 대면 진료가 가능한 단기외래진료센터는 70곳이다.
확진자 급증을 행정력이 미처 따라가지 못하면서 양성 확진을 받았음에도 치료 방법 등에 대한 안내가 없는 경우도 허다했다. 일반관리군 확진자들은 “관리가 아니라 방치”라며 분노를 쏟아내기도 했다. 경기도 일산에 거주하는 박 모 씨는 “이런 식으로 행정이 마비될 거라면 정부 차원에서 미리 국민들한테 감기약·의료기기·생필품 등을 준비하라고 지침을 내렸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