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인공지능, 친구인가 적인가’를 주제로 한 세션에서 구루더스 바나바르 IBM 왓슨연구소 최고과학책임자(CSO)는 “AI는 광대한 데이터 처리 등 많은 분야에서 인간을 앞섰지만 상식적인 추리나 주어진 체계를 벗어난 질문 능력 등은 인간을 대신할 수 없다”며 “AI는 아직 인간 지능을 겉 핥기로 흉내 내는 단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AI는 통제 가능하며 인간과 기계의 조화는 모든 분야에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AI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스튜어트 러셀 UC버클리대 전기공학·컴퓨터과학 교수는 “최근 ‘알파고’가 프로 바둑 기사인 이세돌을 이겼다”며 “처음에는 요리·청소·세탁 등 허드렛일을 하다가 점점 더 인간을 대신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본에서 선보인 여자친구 대용 로봇, 노인 말동무 로봇 등이 그 사례라는 것이다. 러셀 교수는 “미래의 AI가 제도적 기준이나 윤리적 철학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며 “과학자들이 프랑켄슈타인이나 터미네이터 등이 아주 먼 미래의 일이라며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라고 비판했다.
다만 이들 전문가는 점차 AI 혁명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업과 인력은 도태되는 반면 새로운 직업군 창출, 생산성 증가를 촉발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코리에 엘스톤 구글 최고기술책임자(CIO)는 또 다른 세션에서 “금융시장과 연관된 복잡한 데이터들이 인간의 계산 능력을 추월하고 있다”며 “금융회사의 거의 유일한 대안이 된 기계가 지금과는 전혀 다른 사업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