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15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분석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5일 밝혔다. 통계는 2014년 8월과 2015년 2월 각 대학과 대학원 졸업자를 대상으로 2015년 12월31일 기준 건강보험과 국세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취업 현황을 조사한 것이다.
고등교육기관을 졸업한 취업대상자 50만8,144명 중 2015년 말 기준 취업자는 34만3,069명이었다. 취업률 67.5%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올라 3년 만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체 취업률은 지난 2012년 68.1%를 기록한 뒤 2013년 67.4%, 2014년 67.0%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소폭 증가했다.
취업 유형으로는 일반기업보다 창업이나 프리랜서, 해외취업자가 전반적으로 늘었다. 취업자 가운데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비율은 91.9%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줄었다. 반면 1인 창업자 비율은 1.3%(4,626명), 프리랜서 5.3%(1만8,124명), 해외취업자 0.4%(1,455명) 등으로 같은 기간 각각 0.1~0.2%포인트 올랐다.
전문대학과 일반대학의 취업률 격차는 더욱 커졌다. 2015년 취업률은 전문대학 69.5%에 일반대학 64.4%로 전문대가 5.1%포인트 높았다. 전문대학과 일반대학 취업률 격차는 2012년 2.1%포인트, 2013년 3.1%포인트, 2014년 3.3%포인트로 해마나 커지고 있다. 일반대학 취업률은 2012년 이후 떨어졌지만 전문대학 취업률은 같은 기간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를 겪고 있는 울산지역 취업률인 눈에 띄게 떨어졌다.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 강원, 대전, 서울 등 4개 지역만 하락했다. 특히 울산은 전년보다 1.1%포인트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다.
계열별 취업률을 보면 의약계열(82.2%)과 공학계열(72.8%), 교육계열(68.6%) 등이 평균보다 높았고 인문계열(57.6%)과 자연계열(63.9%), 예체능계열(61.9%)은 평균보다 낮았다. 공학계열에서는 산업공학 취업률이 83.3%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학계열 전체 취업률은 2014년보다 0.3%포인트 떨어지면서 2011년 이후 하락세를 이어졌다. /김민형기자 kmh20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