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국 이외 국가의 관광객 유치를 최대 15% 늘려 유커(중국인 관광객)의 빈자리를 메운다.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보복행위에 대응한 자구조치다. 중국 측의 ‘한국여행 상품 판매 중지’가 발효된 15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같은 내용의 ‘사드 보복 대응 관광정책’ 방향을 서울경제신문에 전했다.
문체부 고위관계자는 최근 문체부가 사드 관련 내부회의를 열어 중국 관광객 감소 문제를 해결하려면 국가별 관광객 유치 목표를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에 국가별로 관광객을 늘릴 방안이 있는지 알아볼 것을 지시했다. 이 관계자는 “어느 국가에서 관광객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광공사에 국가별로 관광객을 더 늘릴 수 있는지 점검해보라고 지시했다”며 “공사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별 목표를 상향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선 문체부는 사드 보복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치 관광객 목표치 설정을 중국·동남아·무슬림 등 지역별에서 개별국가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일본을 중심으로 대만·홍콩 등 중화권 국가, 동남아시아 시장, 무슬림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문체부는 관광객 유치목표를 최대 15% 상향 조정한다. 문체부는 이들 시장의 경우 맞춤형 전략을 짠다면 중국 관광객 감소에 따른 피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관광공사에 최대 15% 이상 관광객을 늘릴 여지가 있는지 점검해보라고 지시했다. 또 관광공사로부터 최종 보고를 받은 후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지원 등을 해나갈 계획이다.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비용을 동남아·일본 등의 홍보비용으로 쓸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하는 방안과 함께 한류의 영향으로 부쩍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등을 무비자국가에 새로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무슬림 관광객 등 중국 외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 인프라 확충에도 힘쓸 방침이다.
관광 업계는 사드 보복에 대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바라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여행금지 조치로 큰 타격이 예상되지만 일본과 동남아 등의 관광객 유치를 통해 어느 정도 충격 완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지난 2012년 방한 관광객이 352만명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지속했으나 지난해 2월 성장세로 전환된 뒤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대만 역시 지난해 전년 대비 60% 이상 성장했으며 홍콩도 전년 대비 23.7% 늘었다.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도 최대 55%를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 무슬림 관광객도 지난해 전년 대비 33.1% 증가한 98만명으로 전체 외래 관광객 증가율인 30.3%를 상회한다. /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