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0일 삼표레미콘 공장의 이전 합의를 발표함으로써 인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성수동 일대가 ‘신흥 부촌’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지역은 강변임에도 서울시의 35층 층수제한에서 벗어나 있어 이미 고급 주상복합단지로 변모하고 있는데다 이번 레미콘 부지 이전 합의로 서울숲이 당초 계획대로 완성되면 탁월한 주거환경을 갖추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 성수동은 우수한 입지에 3.3㎡당 평균 시세가 4,000만원 이상인 최고 40층 이상 초고층 고급 주상복합건물들이 잇따라 들어서면서 한강 변의 신흥 부촌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09년 당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한강르네상스’ 정책에 따라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4개의 전략정비구역이 지정됐고 최고 50층 아파트단지 8,000여가구를 짓는 정비계획안이 2011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통과됐다. 이러한 이유로 이곳은 2014년 서울시가 일반주거지역 아파트 최고 층수를 35층 이하로 제한한 도시계획원칙인 ‘2030서울플랜’의 적용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올해 들어서도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가 4월 성동구청에 조합 설립을 신청해 인가를 대기 중이며 4지구 조합은 서울시 건축심의를 앞두고 있는 등 전략정비구역 재개발사업이 진전되면서 이곳의 노후주택들의 시세는 오르는 추세다. 성수동 A공인 대표는 “전략정비구역 내 면적이 작은 매물일수록 인기가 높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살 만한 물건은 거의 없다”며 “10평(전용 33㎡) 이하 빌라의 경우 3.3㎡당 최고 가격이 9,000만원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우수한 입지와 미래 가치가 주목을 받으면서 전략정비구역 외 일반 아파트 단지들도 올해 들어 시세가 최소 10% 이상 올랐다는 게 이곳 공인중개사들의 판단이다.
여기에 1977년 들어서 40년간 운영돼온 유일한 ‘옥의 티’가 사라지게 된다는 것은 상당한 호재가 아닐 수 없다. 과거 20년간 이전이 논의됐던 것도 공장 가동에 따른 소음과 미세먼지, 공장을 출입하는 차량에 따른 교통난 등을 유발해 주거환경을 악화시킨다는 이유에서였다. 1990년대부터 공장을 이전하고 그 자리에 서울시 신청사 건립, 서울숲의 일부인 공원 조성, 현대자동차그룹 사옥 건립 등 여러 방안들이 추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이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2015년 10월 임기 내 해결을 약속하고 성동구청, 현대제철(토지 소유주), 삼표산업(공장 운영)과 협의를 진행해왔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오전10시 서울시청사에서 박 시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강학서 현대제철 대표, 홍성원 삼표산업 대표가 참석해 ‘서울숲 완성을 위한 ㈜삼표산업 성수공장 이전 협약’을 체결하려다 행사 시작 30분 전에서야 취소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공장 이전에 대한 합의는 이뤄졌지만 현대제철과 삼표산업 간 협상에 일부 이견이 있어 추가 조율을 위해 협약식을 잠정 연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박 시장의 임기 내 해결을 위해 합의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한을 정해 발표를 강행하려다 결국 행사를 연기하게 됐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박경훈기자 soco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