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부산에 있는 병원을 다닐 땐 일일이 CT·MRI 등 진료기록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부산 내 600여개 병원이 진료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기 때문이다. 5년 후 이 시스템이 전국에 도입되면 환자는 어느 병원에서든 자신의 진료기록을 볼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11일 ‘진료정보교류 지원체계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올 연말까지 부산 600여개 병·의원을 대상으로 진료정보 전자교류 지원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부산 지역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만 하면 어느 병원에서든 자신의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병원을 옮기거나 자신의 진료기록을 보기 위해 진료했던 병원을 찾아가서 일일이 복사본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부담이 사라진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지난 달 의료법과 시행령 등을 개정해 의료기관이 진료 정보를 전자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복지부와 미래부는 부산 지역 병원에서 표준화된 진료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의료기관간 교유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 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일단 올 하반기 충남대와 전남대 병원을 중심으로 지역 내 400여 곳의 병원을 연결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그러나 이 사업이 전국으로 확산되기 전까지는 병원을 옮길 때 자신의 진료·영상기록을 직접 챙겨서 들고 다녀야 한다.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한 관계자는 “지역 내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개인 의원 등 1차 병원과 2·3차 종합·대학 병원을 연결하는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며 “지역별 교류 인프라가 다 갖춰진 후에는 지역간 연결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5년 안에 전국에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인프라가 모두 구축될 수 있다”며 “그러면 환자는 전국 어느 병원을 가도 자신의 진료·영상 기록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사업이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의료기관의 신속·정확한 진료 제공을 돕는 것은 물론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될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강도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표준화된 진료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의료 서비스도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