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관계자는 물론 ‘(부동산시장에) 극적인 변화가 없는 한’이라는 단서를 달았으나 이 같은 극적 변화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주요 지역의 집값 상승 흐름에 대해 “(서울 강남권 등 일부의) 국지적 오름세”라고 진단했다. 또 내년부터 신규주택 입주물량이 수도권 등을 중심으로 대거 쏟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당 지도부도 단호한 입장을 나타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재 보유세 인상을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김 의장도 보유세 문제는 부동산정책이 아니라 조세합리화 차원에서 다뤄야 하는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도 내년도 상반기 지방선거 이전에 보유세 인상을 공론화하는 것을 대체로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퇴직노인들의 반발을 살 수 있어서다. 더욱이 이날 국세청이 내놓은 종합부동산세 납부 의무자는 40만명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6만여명이 늘어난 수치다. 보유세까지 손댈 경우 세 부담이 커져 상당한 저항을 불러올 수 있다.
다만 정부가 내년도 하반기에 마련할 2018년도 세법개정안 및 중장기조세정책에 보유세 조정 여부가 포함될 여지는 있다. /민병권·김영필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