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외유성 출장 논란이 일파만파로 커지면서 이제 화살은 청와대 인사검증 책임자인 조국(사진) 민정수석으로 향하고 있다. 조 수석에 대한 책임론이 급속히 확산되는 데는 김 원장과의 개인적 친분이 있다. 조 수석은 김 원장이 과거 소장으로 있던 더불어민주당의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의 싱크탱크인 ‘더미래연구소’의 이사와 강사로 활동했다.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 5일 만에 자진 사퇴했을 때도 조 수석은 개인적인 친분으로 인사를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조 수석과 안 전 후보자는 서울대 법대에서 교수와 조교의 사제지간이었고 참여연대에서도 함께 활동했다. 이에 사적인 친분이 조 수석의 내정자 인사 검증에 영향을 준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실제 조 수석은 김 원장 논란이 계속되자 임명에 앞서 200여개의 질문을 던져 정밀 검증하고 의혹이 제기된 후 지난 6일부터 나흘간 추가로 검증을 벌인 결과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임기 말 정치후원금 땡처리 등 김 원장 관련 추가 의혹이 줄지 않고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조 수석이 인사 검증을 부실하게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야당은 정국을 혼란에 빠뜨린 김기식 인사를 한 조 수석의 책임을 묻고 있다. 장제원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김 원장의) 검증에 책임이 있는 조 수석도 그토록 좋아하는 청와대 브리핑룸에 서서 관련 파문에 대해 낱낱이 해명하고 국민께 사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또한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같은 시민단체 출신으로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고도 또다시 인사 참극을 초래한 조 수석 등 청와대 인사·검증 라인도 전면 교체해야 한다”고 조 수석의 사퇴를 촉구했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