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4·3평화문학상 수상작인 김소윤(38·사진) 작가의 장편 소설 ‘난주’가 최근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됐다. ‘난주’는 정약현의 딸이자 정약용의 조카로 조선의 명문가 장녀였던 정난주 마리아가 신유박해로 인해 집안이 몰락한 후 제주도 관노비로서의 살아갔던 신산했던 삶을 그린 작품이다.
정약용, 정약현, 황사영(정난주의 남편) 등은 많이 알려졌지만 정난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여자이자 약자로서 남자들의 이야기인 ‘히스토리’에서는 잊혔지만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정난주의 ‘허스토리(Herstory)’가 비로소 세상으로 나온 셈이다. 김 작가는 지난 11월 30일 제주도 서귀포시의 한 카페에서 열린 출간 기념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명문가의 ‘애기씨’였던 정난주가 관노비로 37년을 살면서, 대체 어떤 삶을 살았기에 제주도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는지, 그리고 관노로 가면서 아들을 추자도에 버리고 간 사연이 두 아이를 둔 엄마로서 궁금했다”며 집필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김 작가는 정난주뿐만 아니라 역사가 하나하나 그리지 않은 역사 속의 조연과 엑스트라들의 삶을 세심하게 보살펴 끄집어냈다. “소설을 쓰면서 노비 제도와 서민들의 일상에 관한 자료를 많이 봤다. 지금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하루하루 쳇바퀴 도는 삶을 사는 것 역시 똑같다. 하루하루 끼니를 위해 일하고, 월급 받기 위해 일한다. 특별한 사람만이 특별한 것이 아니다. 한 명 한 명의 삶이 위대하다. 출근하고 아이 키우는 평범한 삶도 위대하다. ‘빨래를 너는 게 무슨 의미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런 삶이 하나하나 쌓여서 현재를 만든 것이라 생각한다. ‘잊혀진 꽃들’이 원제다. 기억되지 못하는 꽃들이 앞으로 피어날 꽃들이라고 생각한다.”
정난주에 대한 이야기는 남편 황사영이 참형 당하고 제주에 유배된 후 별감 김석구 집에서 유모를 했고, 37년 동안 존경받으며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는 게 전부다. 김 작가는 나머지는 자신의 상상력에 의해 재탄생됐다고 했다. “역사적 배경이나 문화, 법률 등은 최대한 시대 상황에 맞게 반영했다. 노비 중에서 가장 천한 게 세답(빨래) 노비였고, 이들이 얼마나 중노동에 시달렸는지, 그리고 힘겨운 삶을 사는 사람들끼리의 관계 맺음 등은 당시 있을 법한 설정을 했다. 우리가 만약 정난주와 같은 삶을 살게 된다면 과연 어떤 인물들이 주변에 있고, 그들과 어떤 인연을 맺을지 등은 모두 상상에 의해 나온 것이다.” 정난주는 제주의 관노비가 된 후 설운이라는 어린 여종의 난산을 도운 후 설운의 딸 보말을 양딸로 얻어 관아에서 키우게 되는데 보말은 난주에게 삶을 살아가는 힘이 된다. 또 추자도에 버리고 온 아들 경헌이 좋은 부모를 만나 사랑받으며 자라기를 바라는 희망으로 더욱 보말을 진심으로 사랑한다.
소설 속 난주의 삶을 보면 마치 성녀와도 같고, 천주교는 이 작품에서 떼어 놓을 수 없기에 종교 색채가 강하다. 그래도 김 작가는 정난주라는 나약한 인간에 집중한 작품임을 강조했다. “정난주를 무결점의 인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나약하고 늘 쓰러지고 싶었지만 주변 인물들의 사랑과 격려 덕에 쓰러지지 않았던 인물이다. 신앙도 포기하고 싶을 만큼 내적 갈등도 많았을 것이다. 정난주가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고귀한 신앙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생존 본능 때문이었고, 그는 사랑받고 싶은 본능이 있는 살아 숨 쉬는 인간이었을 것이다.”
김 작가는 당시 노비들의 삶뿐만 아니라 제주의 풍습과 방언 등을 뛰어난 수준으로 고증하고 복원해내 극찬을 받았다. 집필 기간만 4~5년에 달할 정도로 자료 고증에 심혈을 기울인 까닭이다. “첫 문장을 쓰려는데 자신이 없더라. 19세기 제주도의 상황을, 노비제도, 여행 과정 등을 모르니까. 2014년부터 준비를 했는데, 국회도서관 논문도 읽고 제주도의 향토사학자들의 도움도 많이 받았다. 제주도 여행을 자주 오면서 갓 박물관 같은 곳도 들렀다. 잘 안 풀리던 게 그런 곳에 들른 후에는 머리 속에서 그려지면서 이야기가 풀리기도 했다.”
/서귀포=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사진제공=은행나무출판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