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16일 국회에 예쭝광 대만 칭화대 교수를 초청해 가진 조찬간담회에서 “3·4호기 공사가 공론화 과정 없이 중단돼 매몰 비용이 4,000억~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등 졸속 탈원전 정책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그동안 탈원전 반대 서명을 30만명에게 받았는데 이제는 바른미래당 등과 함께 국민 공론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도 뜻을 같이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국가 에너지 정책 철학·기조가 바로 서 있지 못하다”며 “공론화와 국민투표를 위한 범사회적기구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한국당은 정부가 에너지 정책 전환 시 그 내용을 국민투표에 부치도록 하는 에너지법 개정안을 2월 국회의 중점법안으로 처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당이 예 교수를 초빙해 연 간담회도 그 추진력을 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는 대만에서 국민투표를 주도해 탈원전 정책에 제동을 건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예 교수는 “대만은 원전 비중이 줄어들면서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해졌고 급기야 2017년에는 심각한 ‘블랙아웃’도 발생하는 등 경제도 악영향을 받았다”며 “이후 탈원전 정책이 친환경 정책이 아니라는 국민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당 소속 홍일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은 “우리의 원전 생태계 및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가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