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이 4·3 보궐선거에서 ‘참패’하면서 당과 선거를 진두지휘한 손학규 대표의 리더십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손 대표는 지난달 아파트를 임대해 약 한 달간 창원에 상주하며 바른미래당 당적을 갖고 창원성산 지역구에 출마한 이재환 후보를 지원했지만 이 후보는 민중당 후보의 득표율(3.79%)보다도 적은 3.57%를 기록하며 4위로 주저앉았다. 손 대표의 책임론이 제기되면서 일각에서 손 대표는 물러나야 하며 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돼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의원들의 추가 탈당, 분당 등 각종 시나리오도 난무하는 실정이다.
최고위원인 하태경 의원은 4일 페이스북을 통해 당 지도부의 거취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선거 결과는 최악의 쓰라린 패배였다”며 “당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이어 “손 대표와 상의해 당 지도부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사퇴 의사를 우회적으로 전한 것으로 해석된다.
바른미래당 일부 지역위원장과 당원으로 구성된 ‘행동하는 바른미래당 위원장 모임’도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손 대표의 사퇴를 주장했다. 이들은 또 당이 비대위 체제로 전화돼야 한다고 외쳤다. 이들은 “이번 선거는 바른미래당의 현주소와 당 대표의 무능과 민낯을 보여줬다”면서 “선거 참패의 책임은 손 대표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은 1년도 남지 않는 총선을 대비해 비대위 체제로 전환,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당 지도부가 추진하고 있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법안, 공수처법 등의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지정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뿐만 아니라 손 대표를 향한 비방 발언 등으로 물의를 빚은 이언주 의원에 대한 징계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지훈·양지윤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