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오염을 우려한 주민 반대로 지난해 초부터 전면 가동 중단에 들어간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물을 인근 공단으로 끌어다 산업용수로 쓰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정작 이 물을 공급받을 것으로 거론되는 울산지역 기업체들은 비용 문제를 들어 난색을 보이고 있다. 울산시도 “사전 논의가 전혀 없었다”며 반발하고 있어 해법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14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중공업은 최근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의 가동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서 부산시와 두산중공업 등은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된 물 하루 4만5,000톤 가운데 1만톤을 고리원자력발전소 냉각수로, 나머지는 울산 온산공단을 비롯해 원전 주변 지역 산업시설에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단순 공업용수가 아니라 첨단산업시설 등에 사용하는 ‘고품질 맞춤형 산업용수’를 생산해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기존 공업용수보다 6∼7배 비싼 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부산시는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수요처로 거론되고 있는 울산 온산공단 기업체 대부분은 현재 해수 담수화 가격도 비싸서 못 쓴다는 입장이다. 온산공단 입주기업은 현재 수자원공사로부터 톤당 469원(물이용부담금 포함)에 용수를 공급받지만 해수 담수 생산단가는 톤당 1,130원에 이른다. 여기에 물 공급을 위한 관로 공사에 추가로 1,000억원가량이 들어갈 전망이다.
온산공단 최대 물 수요처 중 하나인 고려아연 측은 “수자원공사으로부터 아직까지 접촉이 없었다”며 “일단 제안이 오면 검토는 하겠지만 현재 가격으로는 수용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에쓰-오일 관계자도 “기존에 쓰는 물보다 2배 이상 비싸다”며 “생산 제품의 50~55%를 수출하는데 전기요금에 물값까지 오르면 원가경쟁력이 크게 떨어진다”고 우려했다. 특히 에쓰-오일은 물을 정수해 직원 식수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안전성 문제로 부산 시민이 거절한 물을 회사 직원에게 공급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온산공단 내 342개 공장 가운데 울산시가 상수도를 공급하는 곳은 76곳이며 266개 공장은 부산 낙동강 물을 받아 쓰고 있다. 하루 34만톤의 물을 쓴다. 환경에 민감한 석유화학업체가 많은 상황에서 부산시가 중앙 정부를 내세워 기업체를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온산공단 내 한 기업체 관계자는 “2,000억원짜리 시설을 활용하기 위해 1,000억원을 추가로 들여 관로를 매설하겠다는 것도 납득하기 힘들지만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을 계속하겠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며 “해수담수화 시설 유지를 위해 행여 기업체에 비용을 전가할 생각이라면 크게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울산시 반응 또한 냉담하다. 지난 2월 부산시가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물을 온산공단 공업용수로 추진한다는 소식에 울산시는 당시 “논의된 바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이번 협약에 또 다시 울산시가 빠지자 “시민 건강은 물론 기업체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인데 아무 협의도 없었다”며 “공장 근로자나 시민들의 공감 없이는 물 공급이 어려울 것”이라며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협약을 계기로 이제부터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며 “용수 단가나 관로 공사 등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2009년 착공해 2015년 준공했다. 국비 823억원과 시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모두 1,954억원이 들어갔다. 하루 4만5,000톤의 해수 담수를 생산해 기장군 5만 가구에 수돗물로 공급하고자 했지만 인근 고리원자력발전소 방사성 물질 유출을 우려한 주민 반대에 부딪혀 지난해 초부터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부산·울산=조원진·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