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대표, 김관영 원내대표 등 현 지도부를 거부한다는 바른정당계 의원들의 움직임에 일부 안철수계 의원들까지 가세하면서 바른미래당 내분이 격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둘러싼 바른미래당 내 갈등이 찬성·반대파의 정면 대결 양상으로 흐르면서 당이 사분오열하고 있는 모양새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바른미래당 ‘창업주’격인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의원 13명이 손 대표, 김 원내대표 퇴진을 위한 위원총회 소집에 나섰다. 유 의원을 포함한 9명의 의원은 바른정당계 출신이다. 여기에 안철수 전 대표의 측근인 이태규 의원, 김삼화·이동섭·신용현 의원 등 안철수계 의원이 동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그동안 맡고 있던 수석대변인 자리에서도 내려왔다.
김 의원은 “선거제 개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패스트트랙이 추진됐으나 그 과정에서 당의 지지율 상승이나 결집이 아니라 당을 분열로 몰고 가고 사분오열되는 모습에 참담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이 살자고 나선 길이 오히려 당을 분열시키고 무너지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이는 현 지도부가 오신환 의원의 ‘사보임’을 강행한 것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손 대표, 김 원내대표를 겨냥한 퇴진 움직임이 격화되면서 정치권 안팎에서는 바른미래당이 분당 수순을 밟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의원총회 소집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당이 쪼개지기보다는 우선 당 지도부 불신임을 따지는 등 수습 절차로 돌입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복수의 바른미래당 관계자는 “현 지도부가 패스트트랙에 신경 쓴 나머지 당을 포기한 게 아니냐는 불만이 차츰 고개를 들고 있다”며 “손 대표, 김 원내대표를 둘러싼 신임·불신임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만큼 앞으로 열릴 수 있는 의원총회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아울러 “이른바 ‘한 지붕 세 가족’으로 불리는 등 당내 분열 요소는 이미 많이 알려진 터라 오히려 이번 기회가 당이 화합하느냐, 아니면 쪼개지느냐를 결정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안현덕기자 alway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