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3·1절 기념사에서 남북 간 방역협력을 공제 제안한 지 하루만인 2일 북한이 올해 들어 첫 발사체 도발에 나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이 그간 국제사회와 대화에 앞서 무력시위에 나섰던 만큼 자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관련 대북방역과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하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미 비핵화 협상의 ‘새로운 길’로 정면돌파를 공언한 만큼 이번 발사체 발사가 사전 계획된 신형무기 발사 훈련이라는 반론도 적지않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미상의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대부분 북한의 도발이 코로나 19와 무관한 대내 결속력 강화를 위한 통상 훈련으로 분석했다. 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북한이 대외적인 의도나 목적을 가지고 이번 발사나 지난 주 훈련을 했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오히려 무엇보다 지난해 말 전원회의에서 내세운 경제로선 중심의 정면돌파전을 위해 이를 뒷받침하는 굳건한 자위력을 인민들에게 보여주고 군 사기 진작과 내부결집을 위한 이미 계획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도 “김정은 위원장이 참관했다면 군사적인 정면돌파의 의지를 보여주면서 한미의 대응에 따라 무력시위의 수위를 점점 높혀나가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있다”며 “참관하지 않았다면 군사적인 정면돌파의 의지를 보여주면서 내부적으로는 군부의 경각심을 높이고 대외적으로는 한미의 반응을 탐색해보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발표를 토대로 전문가들은 북한이 발사한 2발의 발사체를 신형 전술지대지 미사일 또는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로 보고 있다. 북한판 북한판 이스칸데르‘라고 불리는 단거리 미사일(KN-23)과 초대형 방사포는 이미 김 위원장이 만족감을 표한 만큼 추가 훈련이 필요 없다는 분석이다. 국방부가 발표한 발사체의 사거리와 고도가 각각 240km, 고도 35km라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지난해 북한이 각각 2차례씩 시험 발사한 신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과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의 사거리와 고도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이날 발사된 발사체의 범위 안에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번 도발이 한반도를 포함한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 19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북한당국은 지금껏 코로나 19 자국 내 감염을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북한의 코로나 19 확진설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실제 노동신문이 지난 1일 ‘의학적 감시대상자’가 약 7,000여명에 달한다고 보도한 것도 북한의 코로나 19 확진설에 힘을 실어준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북한 내 코로나-19 상황이 매우 심각한 것이 이번 도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와 본격적인 관계를 시작하기 전에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은 북한의 전형적인 행태”라고 진단했다.
한편 정부는 문 대통령이 코로나 19 관련 남북 방역협력 공동제안에 대해 “여건이 성숙되는 대로 협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까지 북한의 지원요청이나 남북 간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며 “일부 단체에서 협의는 진행되고 있는 사안은 있으나 현재 대북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요건을 갖춘 단계는 없다”고 설명했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