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와 비례대표만을 위해 출범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한선교 대표 간에 비례의석 공천을 두고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통합당의 반발에 한 대표가 “나쁜 공천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맞서자 황 대표는 “함께 해결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이에 한 대표가 다시 “공천관리위원회에 재심의를 요청하겠다”고 밝히면서 우선 급한 불은 끈 모양새다. 하지만 언제든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원조 진박(진실한 박근혜계)’인 한 의원을 대표에 앉혀놓고 김형오 전 공천관리위원장이 친박계 중진들을 물갈이한 것부터가 잘못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대표는 17일 통합당이 문제 제기를 한 비례대표 공천에 대해 반박했다. 한 대표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세상에 완벽한 공천이 없다지만 비판받을 정도로 나쁜 공천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논란이 계속되자 한 대표는 18일 오전 ‘공관위에 재심의 요청’을 결정하는 최고위를 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공관위가 어떤 결정을 내질 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치러지는 4·15총선에는 기존 정당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는 병립형 비례대표제 17석 외에 의원정수(300인)에 정당득표율을 곱한 후 지역구 의석을 빼고 다시 절반을 가져가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30석)가 도입됐다. 지난해 ‘4+1협의체(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이 강행 처리했다. 이에 통합당은 지역구 의석을 최소화한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창당으로 대응했다. 이 당은 불출마를 선언한 4선의 한선교 의원이 대표를 맡았다. 하지만 전날 미래한국당이 발표한 비례대표 후보 순번에서 당선권인 20번 안에 통합당 영입인재가 단 한 명만 포함되자 당내에서는 “뒤통수를 맞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관련기사
사태가 커지자 황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미래한국당 관련) 최고위원회를 소집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갈등설을 진화했다. 그러면서도 “통합당 자체 비례대표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고 압박했다.
당내에서는 위성정당의 힘을 지도부가 간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구가 없는 위성정당이 비례의석 20석을 얻어 원내교섭단체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법적으로 개별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이끄는 한 대표가 독자노선을 걸으면 막을 길이 없다. 선거법상 비례대표는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는다. 각 당의 당헌·당규에 따라 윤리위원회의 징계를 받고 의원총회에서 재적의원 3분의2 찬성으로 제명돼야 다른 당으로 이적이 가능하다.
하지만 당 대표가 윤리위를 소집하지 않으면 제명이 불가능하다. 전날 서울남부지법은 윤리위를 거치지 않고 전 바른미래당(현 민생당) 의원 8명이 의총에서 ‘셀프 제명’한 것에 대해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존재한다”며 제명처분의 효력을 정지했다. 총선 이후 한 대표가 독자노선을 걸으면 비례의원들은 통합당으로 돌아갈 수가 없다. 통합당 관계자는 “한 대표는 불출마 선언 당시 ‘감옥에 가 계신 박근혜 전 대통령께 정말 죄송하다’며 눈물을 흘렸다”며 “그런데 최근 공천에서 소위 진박 중진들을 다 컷오프해 (통합당에 대한) 감정이 마냥 좋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