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서울 서대문구 창천동에 사는 A씨는 아침 출근길에 아연실색했다. 평소 밥을 주며 돌보던 새끼 길고양이가 참혹한 모습으로 죽어 있었기 때문이다. 얼굴 한쪽과 두개골은 심하게 훼손됐고 눈알은 튀어나와 있었다. A씨가 고양이 사체를 발견한 곳은 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만한 좁은 골목의 끝자락이라 ‘로드킬’ 가능성도 낮아 보였다. A씨는 “사체를 본 수의사와 경찰도 로드킬은 아닌 것 같다고 했다”며 “아마도 누군가가 고양이를 죽이고 사체를 훼손한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고양이가 잔혹하게 살해된 채 거리에 버려지는 ‘길고양이 잔혹사’가 잇따르고 있다. 경찰은 고양이 사체를 부검하고 전담팀까지 꾸리는 등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동물학대를 방치할 경우 향후 대인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철저한 수사와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길고양이들에게 먹이를 주거나 보금자리를 챙겨주는 ‘캣맘’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최근 서울 관악구 난곡동에서 처참한 모습의 고양이 사체가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지난달 28일 해당 커뮤니티에는 “(누군가가) 임신 중인 고양이의 배를 갈라 장기들을 다 꺼내놓았고 뱃속의 새끼들이 꺼내져 사체 위에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고양이 학대살해로 의심되는 사건이 잇따르자 서울 서대문경찰서와 관악경찰서는 동물학대 혐의로 수사에 착수했다. 10일 관악서 관계자는 “고양이의 사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체를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보내 부검을 의뢰했다”며 “폐쇄회로(CC)TV 확인 등을 통해 사체가 발견된 경위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대문서 관계자 역시 “아직 피의자가 특정되지는 않았다”며 “곧 부검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포경찰서는 지난달 마포구의 한 아파트와 상가에서 토막 난 고양이 사체가 수차례 발견되자 전담팀을 꾸려 용의자를 찾고 있다.
잔혹하게 살해당한 고양이 사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주민들은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고양이를 상대로 한 학대가 자칫 인간을 겨냥한 범죄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A씨는 “죽은 고양이가 발견된 장소는 CCTV가 없는데다 가로등도 오래돼 어둡다”며 “밤에 자주 지나다니는데 ‘이러다 내가 봉변을 당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절단된 길고양이 사체가 발견된 마포구 도화동 아파트의 주민 김모(53)씨는 “범인이 미성년자든 성인이든 불안할 수밖에 없다”면서 “예전 연쇄살인범들만 봐도 동물학대를 일삼던 경우가 많지 않았느냐”고 토로했다. 실제로 연쇄살인범 강호순·유영철은 과거 동물학대 전력이 밝혀졌다.
전문가들은 ‘동물학대는 심각한 범죄’라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사이코패스의 대표적 공통점 중 하나가 동물학대 전력”이라며 “훗날 사람 대상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심각한 문제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도 “동물학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엄연히 범죄라는 인식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영기자 young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