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로 구속된 옵티머스자산운용 사태의 핵심 인물들이 코스닥 상장사 스킨앤스킨(159910)으로부터 지난달 150억원을 받아가서 마스크 유통 사업을 진행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해당 인물들이 미리 지급받은 돈을 펀드 환매 중단을 막는 용도 등으로 엉뚱하게 써버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실제로 이들은 지난해 스킨앤스킨에 유상증자로 62억원을 투자했고 최근 80억원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했는데 납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스킨앤스킨은 마스크 선급금을 지급하며 옵티머스 자금이 투입된 부동산을 담보로 잡았는데 해당 물건에는 300억원 가량의 선순위 근저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옵티머스 사태와 맞물려 스킨앤스킨의 자금 회수가 어려움을 겪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스킨앤스킨 측은 현재 마스크 공급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해당 물건의 담보 가치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150억 받은 마스크 유통사 주주는 윤석호
스킨앤스킨은 이들과 지난해 유상증자를 통해 처음 관계를 맺었다. 이 대표의 회사 내추럴코어는 지난해 8월 32억원을, 티알시티는 지난해 11월 30억원을 유상증자로 각각 납입했다. 이들 회사가 스킨앤스킨에 순차적으로 투자하던 지난해 10월 윤 변호사는 스킨앤스킨의 사외이사 후보로 올랐다가 빠지기도 했다.
다만 스킨앤스킨은 최근 옵티머스 연루설이 불거지자 지난 8일 입장문을 내어 “이피플러스가 마스크 유통에 관한 사업 준비가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선급금 지급은) 마스크 유통업계의 일반적인 관행”이라고 밝혔다.
80억 유상증자 대금 납입, 차일피일 미뤄
하지만 이피플러스에 150억원 선급금이 지급된 6월4일, 유증 대상자가 이피플러스에서 신우코퍼레이션으로 변경되고 납입일도 6월26일로 밀린다. 다음날인 6월5일엔 다시 유증 대상자가 스킨앤내추럴(76억원), 한모씨(2억원), 최모씨(2억원)으로 바뀌었다.
스킨앤내추럴 역시 윤 변호사와 관련이 있다. 스킨앤내추럴의 대표는 이모씨이며, 최대주주는 골든코퍼레이션이다. 이씨는 골든코퍼레이션의 최대주주다. 골든코퍼레이션은 내추럴에코그룹이란 법인과 주소지(충남 아산시 배방읍 인근)가 같은데, 이씨는 내추럴에코그룹의 대표이며 윤 변호사는 감사다. 내추럴에코그룹에는 과거 옵티머스 펀드 자금을 투자받았던 유모씨도 사내이사로 있다.
그러나 유상증자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납입일인 6월26일에 되자 다시 7월24일로 연기됐다고 공시한 것. 이는 옵티머스에 대한 검찰 수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보다 이틀 앞선 6월24일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오현철 부장검사)는 옵티머스와 관련된 장소들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 한 바 있다. 다음날인 6월25일에는 한 기타법인이 주식의 2.12%에 해당하는 294만7,746주(시가 8억원 내외)를 매도하기도 했다.
근저당 180억 잡았지만, 선순위가 300억
또 스킨앤스킨이 선급금에 대한 안전 장치로 근저당을 설정해놓은 상가에는 선순위 근저당 약 300억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킨앤스킨은 앞서 “이피플러스가 제공한 부동산 물권에 선급금의 120%에 달하는 금액을 근저당설정 등기를 했다”며 안전함을 강조한 바 있다. 본지 취재 결과 해당 물권은 옵티머스 펀드 자금이 흘러들어간 경기도 용인의 아트리파라다이스 스포츠센터 상가였다. 이곳의 지상 3층~7층과 지하 2층 상가는 이 대표의 법인 라피크가 소유하고 있다.
스킨앤스킨은 이 상가에 지난 6월4일 180억원의 근저당을 설정했다. 그런데 이보다 앞선 지난 2월24일 9개 농·축협조합이 295억2,000만원의 근저당을 설정해둔 상태다. 앞서 이 대표는 이 상가 지하 2층은 2017년6월 38억원에, 지상 3층~7층 2019년1월 350억원에 매입했다. 매입가 378억원에서 선순위 근저당을 단순 차감하면 80억여원이 남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스킨앤스킨은 선순위 대출을 고려해도 담보 가치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스킨앤스킨 관계자는 “이피플러스 측의 선순위 담보 대출은 250억원 규모여서 선급금 150억원에 대한 담보 가치는 충분하다”며 “마스크 공급도 이피플러스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80억원 유상증자는 마스크 유통 사업과는 별개”라며 “납입이 이뤄지지 않으면 대상자를 새로 찾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조권형·조윤희기자 bu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