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11월 대선을 앞두고 우편투표가 정치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미 연방우체국(USPS)을 상대로 한 소송전이 막을 올렸다.
민주당 소속 정치인, 트럼프 상대 소송 제기
이들은 소장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루이스 드조이 연방우체국장이 USPS가 우편투표를 제대로 배송하지 못하게 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법원이 11월 대선 전까지 USPS에 적절한 재정 지원을 명령해 달라고 요청했다.
소송에는 뉴욕주 17선거구 연방하원의원 민주당 후보인 몬데어 존스 변호사, 알레산드라 비아지(민주) 뉴욕주 상원의원 등이 참여했다. 올해 미국 대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 치러지면서 여느 때보다 우편투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만약 우편물 배송이 지연돼 우편투표에 차질이 빚어지면 선거 결과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소송전 확대 전망
트럼프 행정부와 USPS를 겨냥한 소송전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CNN방송은 일부 주(州) 정부가 우편물 배송을 지연시킬 수 있는 USPS의 새 운영 정책을 막기 위한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CNN은 콜로라도·노스캐롤라이나·버지니아주 등 최소 6개 주 법무장관이 USPS의 운영 정책 변경을 막을 수 있는 법률적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버지니아·펜실베이니아·미네소타·매사추세츠·워싱턴·노스캐롤라이나주 법무장관이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내기 위해 힘을 합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그러면서 논의에 관여한 주들이 이번 주 중 법적 대응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드라이브스루 등 대체 투표 방식도 부상
대표적인 대체 방안은 거리 투표함(드롭박스)이다.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받은 유권자들은 기표 용지를 다시 우체국에 보내는 대신, 지역 곳곳에 비치된 투표함에 넣으면 된다. 투표 기간 후 투표함은 선거 당국자들이 직접 수거해 집계 작업을 진행한다.
주지사가 민주당 소속인 뉴저지주는 최근 주 내에 거리 투표함 105개를 추가로 비치하겠다고 밝혔다. 코네티컷주, 버지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에서도 거리 투표소를 늘리려 하고 있다. 애리조나주 등에선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기표 용지를 건넬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투표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거리 투표함 확대에도 노골적으로 반발하고 있다. 전날 그는 트위터로 “(거리 투표함 사용 시) 누가 투표용지를 수거하고, 집계 전에 용지에 무슨 작업이 이뤄질까?”라며 부정선거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선거캠프는 지난 6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길거리 투표함을 비치해선 안 된다며 소송을 걸기도 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