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시는 연중 해수욕장 안전을 위해 해수욕장 예찰 활동을 펼칠 안전요원을 해수욕장마다 고정 배치하며 희망일자리 인력도 추가 확보한다. 안전사고 유의 표지판과 위험지역 표지판을 보강하며 너울성 파도와 입수 주의를 당부하는 안내방송도 진행한다.
또 현재 해운대와 송정에만 배치된 자격증을 갖춘 수상구조요원을 7개 모든 해수욕장에 확대 배치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에 국비 총 29억 원을 신청할 계획이다. 지난 12일에는 입수가능 시간을 일몰 전까지로 하는 해수욕장법 개정도 건의했다.
특히 최근 다대포해수욕장 중학생 물놀이 사고의 경우처럼 해변이 넓고 폐장 기간에 인적이 적은 해변의 경우 안전요원만으로는 사고 대비에 한계가 있으므로 위험지역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안내·경고 방송시스템인 ‘지능형 CCTV’를 설치해 이를 보완해 나간다. 지능형 CCTV는 내년 상반기 중 다대포해수욕장과 송도해수욕장에 우선 설치하고 성과를 분석해 2024년까지 전 해수욕장에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다이버, 서핑 등 수상레저의 사고에도 대비한다. 5G 기술을 이용해 레저객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의 수압, 맥박 등을 감지, 위급 시에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신호를 송출하는 안전플랫폼을 구축한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은 손목시계형의 개인용 수중 위험신호 발신기와 지상 수신기 등 안전장비 시스템 개발을 기획 중이며 내년 3월 국비가 확정되면 본격 개발에 들어가 2025년까지 구축 완료할 계획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도입하면 너울성 파도와 해일, 풍랑 등 기상 악화로 인한 사고 위험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